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KIST "고온 수전해 전지 성능저하 원인, 나노단위서 밝혀" 2024-10-16 12:00:01
장혜정, 윤경중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첨단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사용해 수전해 전지 셀의 성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초기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고체산화물 수전해 전지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데 있어 가장 높은 효율성을 보이지만, 공기 전극이 분리되면서 급격한 성능 저하를 보이는 문...
DGIST, 대학원 대통령장학금 4명 선정 2024-04-16 08:32:23
신입생 1명)이 선정됐다.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신희재 석박사통합과정생은 ‘신경손상 기능복원 및 인간증강 기술로의 응용을 위한 재생신경인터페이스 개발’을 주제로 ‘다학제 융합·복합(대분류 ICT융합연구, 박사 재학생)’ 분야에 선정됐다. 신희재 학생은 말초신경계의 생리학적 기전과 의학적 접근을 고려한 신경...
첨단 현미경 필수 표준물질 국산화 비결은 '산·학·연 공조' 2023-11-03 17:56:33
전자현미경은 고전압을 건 전자를 총처럼 발사해 물질을 분석하는 장비다. 투과전자현미경(TE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나뉜다. TEM은 시료에 전자를 투과시킬 때 생기는 전자 속도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한다. 이 변화량 데이터로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SEM은 시료에 ‘1차 전자’를 쏠 때 시료 표면에서 튕겨...
개교 2년 만에…미래에너지 연구 선도하는 한국에너지공과대 2023-10-30 16:00:19
있다. 세계 최고 성능의 초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국내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 장비는 30~300㎸의 가속 전압을 30분 이내로 변경하거나 안정화할 수 있어 시료의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 최신형 이중 구면 수차 보정기를 탑재해 원자 단위 소재의 이미지 확보도 가능하다. 켄텍은 이뿐 아니라 X선 회절분석기,...
병원 필수품 '엑스레이'의 변신…전자현미경급 해상도 구현한다 2023-04-12 18:01:28
투과한다. 이런 투과력은 현미경 내부 시스템인 광학계를 설계할 때 골칫거리다. 매질을 그냥 통과하기 때문에 쓸 수 있는 부품이 극도로 제한된다. 잘 개발하기만 하면 비싼 전자현미경을 대체할 수 있어 해상도를 ㎚급으로 끌어올리는 연구가 최근 활발해졌다. 엑스레이 현미경은 굴절 렌즈 대신 동심원 회절판을 쓴다....
병원 가면 늘 마주치는 이 장비, 설마 했더니 2023-04-12 08:57:44
X선 해상도를 전자현미경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원천기술이 '수학의 힘'으로 개발됐다. KAIST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와 이겨레 박사후 연구원은 포항가속기연구소 임준 수석연구원과 함께 이런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박 교수는 '세포 CT' 개발 스타트업 토모큐브, 레이저 기반 초소형...
폴리코사놀 건강기능식품, 중국산은 유효성분 절반 수준 2023-02-13 17:40:26
잘 한다.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폴리코사놀이 함유된 HDL을 관찰한 결과, 쿠바산을 사용한 HDL의 입자가 가장 크고 양도 가장 많았다. 중국산을 사용한 HDL은 입자 크기와 숫자가 이보다 적었다. 혈관을 막는 콜레스테롤인 LDL(저밀도지단백질)에 대한 항산화력을 수치로 비교한 결과, 쿠바산은 35%로 중국산에 비해...
VC가 꼽은 올해 유망 스타트업은 '로·디·이' [긱스] 2023-01-24 10:29:02
3D 홀로토모그래피 현미경을 상용화했다. 세포에 형광 시약을 주입한 뒤 레이저를 투과해 관찰하는 기존 현미경과 달리 3D 홀로토모그래피 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이 현미경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하버드 의과대학,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 서울대 의대 등에서 발표된 200여건의 연구 결과에...
전량 수입하던 첨단 현미경…'강소기업 3형제'가 국산화 앞장 2022-12-02 17:49:44
현미경을 국산화·고도화하며 세계 시장을 호령하고 있는 중소기업이 있다. 코셈, 파크시스템스, 토모큐브다. 전량 수입 전자현미경 국산화전자현미경은 전자에 고전압을 걸어 총처럼 발사해 물질을 분석하는 장비다. 전자가 가는 길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는 고도의 진공 상태에서 작동한다. 크게 투과전자현미경(TEM)과...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 연구자에…UNIST, 국내 최다 10명 2022-11-17 17:56:06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7명이 이름을 올린 크로스 필드 분야에서는 백종범, 김광수 교수가 5년 연속 선정됐다. 이들은 화학과 재료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연구하고 있다. 이현욱 교수는 2차전지와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야 연구자로 4년 연속 선정됐다. 조승우 교수는 유전자 가위 등 생명공학 분야 연구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