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렌드포스 "올 하반기 낸드 가격 회복…메모리 감산 덕분" 2025-02-17 15:35:24
트렌드포스 "올 하반기 낸드 가격 회복…메모리 감산 덕분" '하락세' 낸드 가격 정상화 전망…감산 및 AI 수요 증가 효과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하락세에 접어든 낸드 플래시의 가격이 제조업체들의 감산 효과와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에는 정상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美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 추진…삼성전자·하이닉스 촉각 2025-02-14 17:54:30
낸드플래시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우시에서 D램 공장을 가동 중이다. 삼성전자의 낸드, SK하이닉스의 D램 사업에서 중국 공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두 회사 모두 40% 수준이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로부터 ‘검증된 최종사용자’로 지정돼 별도 허가 없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 장비를 반입할...
[고침] 경제(환율·유가 상승에 1월 수입물가 넉 달째 오…) 2025-02-14 09:05:36
상승률이 높았다. 신선수산물은 7.7%, 플래시메모리는 11.9% 각각 하락했다. 1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110.30)와 수입금액지수(130.65)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8%, 7.1%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101.49)와 수출금액지수(112.75)도 각각 10.7%, 11.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9)는 전년 동월...
고환율에 더해진 고유가…1월 수입물가 2.3% 상승 2025-02-14 08:57:38
상승률이 높았다. 신선수산물은 7.7%, 플래시메모리는 11.9% 각각 하락했다. 1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110.30)와 수입금액지수(130.65)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8%, 7.1%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101.49)와 수출금액지수(112.75)도 각각 10.7%, 11.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9)는 전년 동월...
환율·유가 상승에 1월 수입물가 넉 달째 오름세 2025-02-14 06:00:03
상승률이 높았다. 신선수산물은 7.7%, 플래시메모리는 11.9% 각각 하락했다. 1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110.30)와 수입금액지수(130.65)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8%, 7.1%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101.49)와 수출금액지수(112.75)도 각각 10.7%, 11.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9)는 전년 동월...
중국 거센 추격에 미국 관세 압박까지…겹악재 맞은 K반도체 2025-02-12 11:47:19
위한 28만㎡ 규모 공장을 건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메모리 반도체인 낸드 플래시에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D램보다 플레이어가 더 많은 낸드 시장에서 지난해 3분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의 점유율은 총 55.6%다. 그 뒤를 일본 키옥시아(15.1%), 마이크론(14.2%), 웨스턴디지털(10.7%) 등이...
삼성전자, 이유있는 '반등'…심리선 '뚫었다' 2025-02-11 15:15:43
메모리 기업들의 DDR5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범용 메모리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실제 지난달말 기준, D램 평균고정거래가격은 1.35달러를 기록해 보합세를 보였고, 낸드플래시는 전달 보다 4.57% 가격이 올라 5개월만에 반등세를 나타냈습니다. 당초 시장에서는 범용 메모리 가격이 하반기에나 반등할...
"우린 메이드 인 코리아, 韓·日 정치가 경제 흔들면 안돼" 2025-02-11 14:50:31
배경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그래픽처리장치(GPU), 낸드플래시 등 세 개 분야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차량, PC, 스마트폰용 반도체 시장 회복은 아직입니다. 올 하반기부터 이 시장이 회복되면 반도체 시장 성장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포토레지스트 시장 전망은요. “포토레지스트 수요와...
범용 메모리 반도체 가격 안정세..."수요반증 가능성" 2025-02-11 14:27:00
등 IT 세트 기업들의 메모리 재고 축소로 추가 주문 발생 가능성 - 미국 브로드컴과 함께 설계한 맞춤 AI 칩, 내년 대량 생산 목표 - 삼성전자와의 파운드리 협력 불발로 시장에 실망감 부여 - HBM 수요처 증가로 삼성전자의 공급 다변화 기대● 범용 메모리 반도체 가격 안정세...조기 반등할까 지난달 말 기준 D램 평균...
관세 우려 속 선방한 증시...2차전지·반도체·로봇株 강세 2025-02-11 07:34:10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낸드 플래시 감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2분기부터 낸드 가격 반등 예상되어 투자심리 개선됨. -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신규 프로젝트 기획을 주문하면서 로봇 섹터도 상승세 이어감.● 관세 우려 속 선방한 국내 증시...2차전지·반도체·로봇株 강세 미국발 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