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 혁신 융합"…삼성전자 DS, CES서 차세대 반도체 소개 2025-01-14 11:24:06
AI 메모리 전시 공간을 별도로 만들어 REC BOX(로봇 엣지 컴퓨팅), 엑시노스(Exynos) 로봇 플랫폼 보드 등을 소개했다. 이와 함께 이미지센서 제품인 아이소셀 체험 공간도 조성했다. 또 지난해 8월 열린 '플래시 메모리 서밋 2024'(FMS 2024)에서 처음 공개한 업계 최고 용량인 128TB급 엔터프라이즈(기업용)...
HBM 공급 부족에…SK하이닉스, 청주로 D램 인력 전진배치 2024-12-15 07:15:00
청주 M15X 팹(공장)에서 일할 핵심 인력들을 차출하며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기지 확대·강화에 속도를 낸다. 내년에도 견조한 인공지능(AI) 수요로 HBM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선제 대응을 통해 'HBM 1등' 지위를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D램 생산기지'로...
최태원, 美솔리다임 이사회 의장 맡는다…AI 반도체 경쟁력 속도 2024-11-14 17:19:50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하이닉스의 미국 낸드플래시 메모리 자회사인 솔리다임의 이사회 의장을 맡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확대로 낸드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SK하이닉스와 솔리다임간 시너지를 강화하는 등 SK그룹의 AI 반도체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전면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내년 초 'HBM3E 16단' 고객사에 공급" 2024-11-04 13:45:55
=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선두 주자인 SK하이닉스가 내년 초 업계 최대 용량·최고층의 '48기가바이트(GB) HBM3E 16단' 제품 양산에 나선다. SK하이닉스는 사실상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큰손' 엔비디아에 HBM 물량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는 만큼, 차세대 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주도권을 더욱...
삼성전자·SK하이닉스, 'OCP 서밋'서 차세대 메모리 선봬 2024-10-17 17:20:23
차세대 메모리 제품을 소개했다. OCP 서밋은 전 세계 최대 규모의 개방형 데이터센터 기술협력 협회인 OCP가 주최하는 글로벌 행사로, 미래 데이터센터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AI 기술 중심의 반도체 최신 기술과 연구 성과, 기술력 등을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 행사 주제는 '비전을 현실로 전환하다'(From Ideas...
낸드 성장 '쑥쑥'…3분기도 메모리 '효자' 노릇 2024-09-22 06:22:50
TLC에서 QLC로의 전환이 이뤄지는 중이다. SK하이닉스 올해 8월 미국에서 열린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4'에 참가해 내년 상반기 양산 목표인 321단 TLC 및 QLC 4D 낸드 패키지 샘플과 321단 웨이퍼를 공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238단 4D 낸드 기반의 서버용 SSD 'PEB110' 개발 소식을 알렸다....
AI 수요에 낸드 성장 '쑥쑥'…3분기도 메모리 '효자' 노릇 2024-09-22 06:01:03
TLC에서 QLC로의 전환이 이뤄지는 중이다. SK하이닉스 올해 8월 미국에서 열린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4'에 참가해 내년 상반기 양산 목표인 321단 TLC 및 QLC 4D 낸드 패키지 샘플과 321단 웨이퍼를 공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238단 4D 낸드 기반의 서버용 SSD 'PEB110' 개발 소식을 알렸다. 내년...
삼성·SK하이닉스 '제2의 HBM' 패권 경쟁 2024-09-02 16:12:24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4’에서 공개됐다. eSSD는 서버에 적용되는 데이터 저장장치로 낸드플래시가 주력 부품이고 D램과 컨트롤러도 들어간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이 중요해지면서 eSSD는 없어선 안 될 핵심 반도체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7세대 쿼드러플레벨셀(QLC) 낸드플래시를...
HBM 이어 서버용 SSD 선점 경쟁…'최초 양산' SK vs '최고 용량' 삼성 2024-08-19 18:19:58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4’에서 공개됐다. eSSD는 서버에 적용되는 데이터 저장장치로 낸드플래시가 주력 부품이고 D램과 컨트롤러도 들어간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이 중요해지면서 eSSD는 없어선 안 될 핵심 반도체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7세대 쿼드러플레벨셀(QLC) 낸드플래시를...
"삼성 잡아라" 10조 베팅한 SK…삼성도 반격 나섰다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4-08-17 13:27:43
내놨다. 지난 6∼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서 개최된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4'에서다. 삼성전자는 FMS 2024에서 보란듯이 eSSD 신제품을 공개했다. 용량은 모델별로 16TB~128TB다. 64TB 고용량 제품은 지난달 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속 읽기·쓰기 속도는 각각 7.2GB/s, 2GB/s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