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명령에 복종할 땐 '죄책감 느끼는 뇌' 기능이 마비된다 2025-01-17 18:32:46
전전두엽 피질, 쐐기앞소엽 같은 영역과 부정적 감정 처리와 관련된 전측 섬 및 전대상 피질 등 변연계 영역 등 다양한 곳이 활성화된다. 캐스파의 연구에 따르면 죄책감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동성은 본인 의사가 아니라 누군가의 명령으로 나쁜 일을 할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군가가 시켰다는 핑계가 잔혹하고...
윤경철 학회장 "스마트폰 사용으로 건성안 늘어…디지털 눈 피로, 경각심 가져야" 2025-01-15 16:16:35
단순한 눈물 분비 부족이 아니라 대뇌피질과 눈물샘, 눈 표면이 연결된 회로 이상이라는 연구를 확인했다. 이후 국내에서도 건성안 연구가 늘어야 한다고 판단해 동물실험실을 열었다. 미국과 한국 제약사에 신약 기술을 이전하는 등 성과도 있었다.” ▷아이들도 스마트폰을 많이 쓰는 추세다. “아이들도 스마트폰을 보는...
"스마트폰 보면서 혼밥 자주 했는데…" 뜻밖의 연구 결과 2025-01-14 07:36:20
섬엽과 고차원적 인지에 활성화되는 전전두엽 피질의 활동도 감소했다. 이 외에도 산만한 식사가 단맛뿐만 아니라 쓴맛, 신맛, 짠맛 등 모든 맛의 감지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로테 반 딜런 교수는 "현대인들은 언제 어디서나 모든 것을 할 수 있게 됐지만, 이는 건강한 식습관에는 좋지 않다"며 "더 많이...
[사이테크+] "수면 부족하면 불쾌한 기억 등 잡생각 억제 능력 떨어져" 2025-01-09 09:42:24
그룹은 밤을 새운 그룹보다 생각, 행동, 감정을 조절하는 오른쪽 배측면 전전두엽 피질(righ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이 더 많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충분히 잔 그룹은 기억을 억제하는 동안 기억 검색에 관하는 해마(hippocampus) 활동이 감소했다. 이는 충분한 수면이 원치 않는 관입 기억이 일어...
[게시판] 산업부·코트라, CES 현장서 혁신상 수상기업 간담회 2025-01-09 06:00:02
12개사와 간담회를 열었다고 9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뇌 피질 모니터링 및 자극용 임플란트 시스템 개발업체인 '지브레인' 양성구 대표, 전기차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자동화 기술 설루션 개발 업체 '토트' 이상형 대표 등 디지털헬스·로보틱스·메타버스·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대표들과 정...
[분석+]먹는 위풍선·살빼는 전자약…비만 시장 공략 나선 의료기기 2024-11-19 09:26:00
사용한 탐색임상 결과를 밝혔다. 2주간 8번 좌측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DLPFC)을 5초 50번 자극(자극 사이에 55초 간격)을 20분간 진행했다. 그 결과, 치료 종료 후 2주 뒤 평균적으로 2.75kg(±2.3kg)의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식욕감소 효과 적응증 획득을 목표로 확증임상을 준비 중에 있다"고...
"임신 중 환경호르몬 뇌 발달에 치명적…성인까지 영향" 2024-11-13 09:11:41
모계 노출이 성체 자손 마우스 대뇌 피질의 미세아교세포 형태를 변화시켰음을 확인했다. 이는 모계 옥틸페놀 노출이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에 잠재적으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정의만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환경호르몬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환...
이 과일 심상찮다…이상기후에 생산량 '뚝' 2024-11-12 16:31:03
봄철 개화기 때 유자 열매를 맺게 하는 꽃이 많이 피질 못해 과실량이 줄었다. 또 여름에는 기온이 너무 높았고, 일사량도 증가하면서 유자 열매 표면이 타버리는 피해가 심했다. 여기에 올해는 격년으로 열매가 적게 열리는 '해거리 현상'까지 나타나면서 수확량 자체가 크게 줄어드는 양상이다. 이에 시는 심은...
아리바이오 AR1001, ‘뇌졸중’ 비임상 효과 국제학술지 게재 2024-10-16 16:17:25
관찰에서 대조군의 퇴행성 세포 수는 약 81개(대뇌 피질 1제곱밀리미터당 세포 수)였던 것에 비해, AR1001을 투여한 쥐에서는 약 22개로 퇴행성 세포 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이 같은 결과로 연구진은 AR1001이 뇌졸중 이후 감각 운동 및 인지기능을 광범위하게 회복 또는 개선과 동시에 대뇌 피질 세포의 사멸...
서울아산병원, 뇌졸중 시야장애 디지털치료제 처방 시작 2024-09-30 09:55:07
시각피질인 후두엽이 손상돼 시각 정보 일부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다. 시야장애를 겪는 환자는 운전이나 독서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한다. 좁아진 시야 탓에 사고 위험에 노출될 위험도 크다. 세계적으로 명확한 치료법이 없다. 강 교수는 지난 12일 뇌졸중 후유증으로 시야장애를 앓고 있는 김모씨(57)에게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