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 헬스케어 시대의 도래,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삼정KPMG CFO Lounge] 2024-04-24 09:31:57
하빌리스(Homo Habilis)가 뗀석기를 사용한 이후 인류가 철기를 들기까지는 250만 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그 후 총을 만들기까지는 약 3천 년의 시간이 걸렸으며, 약 500년이 지나 1775년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산업혁명이 이루어지면서 인류의 기술 발전의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졌다. 불과 100년이 지나 인류는...
언론·NGO 탄압 논란에도 쟁점법안 강행 조지아…EU "매우 우려" 2024-04-18 15:09:53
등록하고 엄격한 규정과 제한을 준수하도록 하는 '외국기관대행법'을 채택했다. 이후 해당 법률은 지난 10여년 동안 러시아 시민사회와 자유 언론을 억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됐다는 지적을 받는다. 야당 의원인 알레크산드레 엘리사슈빌리는 이번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향해 "반역자들"이라고 비난하며...
[커버스토리] '호모 프롬프트' 시대…질문이 힘이다 2024-03-25 10:01:01
기술 진보를 특징으로 하는 인류 역사를 설명해주는 호모 하빌리스(손재주 있는 인간)와 호모 파베르(도구적 인간)가 있는가 하면, 호모 루덴스(유희적 인간), 호모 데우스(신이 된 인간) 같은 용어도 많이 알려졌지요. 그런데 AI 시대에 접어들며 호모 크레아투라(창의적 인간), 호모 쿨투랄리스(문화적 인간), 호모...
[사이테크+] "'올도완·아슐리안' 석기 만든 초기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2023-10-15 06:00:04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인지 호모 에렉투스인지 특정하기가 어려웠다. 올도완 석기는 돌 두 개를 서로 마주쳐 날카로운 날 부분을 도구로 사용한 단순한 석기이고, 아슐리안 석기는 타원형 등으로 다듬어진 형태를 갖고 있어 모양과 크기를 염두에 두고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 석기의 제작자는 명확히...
'인류의 조상' 호모종, 기후변화 견디고 살아남은 비결은 '이것' 2023-05-12 05:32:01
초창기 호모종인 호모 에르가스테르와 호모 하빌리스는 주로 초원과 건조한 관목지대 등 개방된 환경에서만 살았다. 그러나 180만년 전 출현해 유라시아로 이주한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등은 온대림과 냉대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적응력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
인류는 어떻게 살아남았을까?…해답은 "복합적 생태환경 선호" 2023-05-12 03:00:00
하빌리스는 주로 초원과 건조한 관목지대 등 개방된 환경에서만 살았다. 그러나 180만년 전 출현해 유라시아로 이주한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등은 온대림과 냉대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적응력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다른 환경에 적응해...
출판계 일본애니 열풍...'스즈메의 문단속' 소설 20만부 판매 2023-04-22 09:57:46
산하 단행본 출판브랜드 니들북·하빌리스가 지난달 14일부터 29일까지 와디즈에서 진행한 펀딩은 단 하루 만에 2억을 넘겼고, 총 펀딩액은 5억1천만원을 넘겨 와디즈 출판 부분 역대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세트에는 '스즈메의 문단속'을 비롯해 '날씨의 아이', '너의 이름은.', '언어의...
[커버스토리] 기술 한계는 어디까지? 상상 초월 'CES 2023' 2023-01-16 10:01:01
것이 없는, 심지어 ‘제2의 태양’까지 만들려 하는 중입니다. 인류학자들이 ‘도구를 잘 만드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조어(造語)해낸 ‘호모 하빌리스’라는 용어는 정말 맞는 것 같습니다. 빨라진 기술 진화주목할 점이 하나 있습니다. 인류 역사 중 99%가량이 구석기 시대였지만 급격한 기술 진화는 길게 잡아야 200여 ...
인간 턱의 기원 밝혀주는 고대 유악어류 4종 중국 남부서 발굴(종합) 2022-09-29 12:10:05
산하 '척추고생물학·고인류학연구소'(IVPP)의 척추고생물학자인 주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중국 남부의 4억3천600만년 전과 4억3천900만년 전 지층에서 각각 두 종씩 발견한 고대 유악어류를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네 편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유악류...
"인류 조상은 하이델베르크인…200만년간 기후 분석해 규명" 2022-04-14 01:00:00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르가스테르·호모 하빌리스)이 시대별로 살았던 서식지를 추정하고 호미닌 인류종의 시공간 지도를 구축했다. 또 연구팀은 호미닌 종끼리 서로 접촉해 같은 서식지 내에서 혼재할 수 있는지 조사해 5가지 호미닌 집단의 족보를 도출해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현대 인류인 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