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학생 줄자…교원·웅진·대교, 실버산업 공략 2025-02-16 17:11:16
매년 학생이 줄고 있다. 2000년 1138만 명에 달한 6~21세 학령 인구는 2023년 725만 명으로 23년 만에 300만 명 넘게 줄었다. 개학을 앞둔 2월 아파트 단지마다 늘어선 ‘대교 눈높이’ ‘교원 빨간펜’ ‘웅진 씽크빅’ 등 학습지 상담 천막에 학부모와 아이가 구름처럼 몰리던 것도 이젠 옛일이 됐다. 학습지업계의 ‘3대...
"우울증 치료도 '오픈런' 해야할 판"…3분 만에 '화들짝' 2025-02-13 20:02:01
받은 국민이다. 총전문 심리상담 서비스 횟수는 8회다. 신청 방법은 주민등록상 또는 실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하거나 만 19세 이상에 한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현재 정신 건강 상태에 따라 1급과 2급 유형으로 나뉘며 바우처 카드를 통해 각각 최대 8만원, 7만원가량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의사 소견서 한 장이면"… 교사 정신 건강 시스템의 허점 [이슈+] 2025-02-12 13:37:21
상담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나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로서는 교사의 정신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거나 추가 검진을 강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아,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제 대응 또한 어렵다. 박주호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는 "정신질환은 주관적인...
대전시교육청, 14일까지 김하늘양 피살 관련 애도기간 운영 2025-02-11 14:50:15
교육지원청 위(Wee)센터를 연계해 학생 심리상담을 하고, 교육직원을 대상으로도 위기 대처 전문기관 연계해 긴급 상담을 지원할 방침이다. 설동호 대전교육감은 “불의의 사고로 숨진 학생의 명복을 빈다”며 “대전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사고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고, 교육 현장에서 불의의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인서울 대학 지원 수험생, 한국IT전문학교 ‘취업잘되는 학과’ 지원 2025-02-07 15:05:43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전국에서 수험생들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서울에서 학업을 희망하는 수험생들이 취업이 연계되는 본교 ‘취업잘되는 학과’들에 지원하며 학위취득과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선 컴퓨터공학과는 자격증 연계 수업이 실시되고 실무형 인재를 양성 중이다....
경기도교육청, 겨울발학 중 진학상담실 운영 2025-01-31 16:11:11
따른 맞춤형 대학 진학을 돕기 위해 도내 고등학생, 학교 밖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겨울방학 중 진학상담실을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경기진학정보센터(이하 센터)에서는 경기도 대입 진학지도 리더 교사 180명이 참여해 매월 2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대 1 맞춤형 진학 화상상담을 제공해 왔다. 센터는 올해에도...
김경환 성균관대학교 창업지원단장, “최근 5년간 교내 창업기업 누적투자 유치액 2,000억원, 기업가치 1조1000억원을 돌파” 2025-01-20 10:49:30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창업 관련 교육 프로그램, (예비)창업자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전문가 상담을 지원하는 원스톱창업상담 등이 있습니다. 한국형 I-CORPS 사업은 공공기술기반 시장 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으로 유망한 기술을 가진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학으로 여러 지원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역 사회와...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열네 살이 만난 힘겨운 현실…"사랑·관심에 기대라" 2025-01-20 10:00:08
중학생이라면 공감을 좀 못하더라도 경험 많고 사랑이 지극한 엄마의 말을 따르는 게 마땅하다. 〈시한부〉에서 수아는 자신의 아픈 마음을 알아주길 바라고, 엄마는 문제에 대해 합리적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는 식으로 관점이 서로 다를 뿐이다. 엄마는 결국 아픈 수아와 소통이 되지 않자 눈물을 터뜨리고 만다. 세대...
"청소년 40%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찾아가는 스마트쉼 센터'로 치유 2025-01-19 12:00:02
전문 상담을 제공한다. 청소년(10~19세)의 40.1%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될 정도로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쓰는 청소년들이 늘었고, 딥페이크 악용 성범죄와 사이버 불링 등 디지털 역기능이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는 스마트쉼 센터 운영을 개선해 학생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교육과 상담 영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