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KBS, 한글날 '자막 오기' 사과 "재발방지 노력하겠다" 2024-10-10 17:32:12
'한글날 경축식' 행사를 중계 방송하던 중 자막 실수를 저질렀다. 한글 자모의 첫 번째 글자인 'ㄱ'은 '기역'이라고 읽어야 하며 'ㄷ' 또한 '디귿'이라고 해야 함에도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내내 '기역'이 아닌 '기억', '디귿'이 아닌 '디읃'으로...
KBS가 또…광복절엔 기미가요, 한글날엔 '기역→기억' 잘못 표기 2024-10-10 08:44:48
자막을 잘못 쓰면서 비판이 나왔다. 한글 자모의 첫 번째 글자인 'ㄱ'은 '기역'이라고 읽는 게 맞다. 'ㄷ' 또한 '디귿'이라고 해야 한다. '한글 뒤풀이'는 '기역 니은 디귿 리을'이 가사 대부분이라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내내 '기역'이 아닌 '기억',...
"외국어 간판 어려워요"…초등학생들 편지에 국회 움직였다 2024-09-25 16:01:29
문자는 원칙적으로 한글맞춤법,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및 외래어표기법 등에 맞춰 한글로 표시해야 한다. 외국 문자로 표시할 경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한글과 병기해야 하는 의무조항이 있다. 분명 의무로 규정돼 있지만, 해당 법을 지키지 않을 경우 처벌(500만원 이하 과태료)이 너무 무거워 오히려 바로잡기가 쉽지...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유네스코 등재 준비하는 '큰사전 원고' 2024-09-09 10:00:09
되는 한글날 기념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조선어사전편찬회 발기회가 조직됨으로써 사전 편찬 작업이 시작됐다. 사전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통일된 맞춤법이 필요했다. 그에 따라 조선어학회에서 1933년 10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발표한다. 이어 1936년 10월엔 을 펴냈다. 일제의 감시와 간섭 속에 어렵사리...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피서철 '납량'에 담긴 우리말 문법들 2024-07-15 10:00:16
글자는 한글맞춤법의 두음법칙에 따라 ‘납량’으로 적는다. 두음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나타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글맞춤법 제10~12항에서 여러 유형의 두음법칙을 규정하고 있다. 가령 제11항에선 한자음 ‘랴’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야’로 적는다고 했다. 물론 단어 첫머리가 아닌 경우...
英로열발레단 초고속 승급…'한국판 빌리 신화' 전준혁 2024-07-07 17:55:18
“맞춤법을 틀리는 작가가 없는 것처럼, 테크닉이 부족한 로열발레단원은 없다”며 “배역을 받았을 때 스스로 납득할 수 있도록 많은 이야기를 마음속으로 설정하고 나만의 스토리로 동작을 표현해 진실성을 담는다”고 말했다. ‘백조의 호수’는 고전 발레지만 로열발레단이 재해석한 버전에선 왕자의 친구인 ‘베노’가...
인공지능이 한글 문서 편집…'한컴독스 AI' 공개 테스트 2024-06-26 18:19:33
한글과컴퓨터가 구독형 문서 편집 서비스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한컴독스 AI’의 오픈베타 테스트(OBT)를 진행한다고 26일 발표했다. 한컴독스 AI는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업무 도구다. 이력서, 보고서, 기획서 등 문서 양식을 고르고 주제와 핵심 내용을 입력하면 문서 초안이 자동 생성된다....
생성형 AI가 한글 문서 편집…한컴, ‘한컴독스 AI’ 공개 테스트 2024-06-26 10:44:46
목차 생성, 이어 쓰기, 번역, 맞춤법 검사, 문서 요약 등 다양한 기능을 담았다. 작년 말 비공개 베타 테스트 이후 새로운 기능도 추가했다. AI가 퀴즈를 생성해주는 기능이 대표적이다. 주제를 입력하거나 출제 범위를 지정하기만 해도 AI가 주제에 맞는 퀴즈를 만들어준다. 설문 서비스인 한폼을 거쳐 객·주관식 등 문제...
"학부모들 충격받고 찾아와요"…강남서 뜨는 '이색 학원' [이슈+] 2024-03-15 13:30:06
수료생 학부모인 40대 정모 씨는 "아들의 맞춤법이 엉망인데다 악필이라 글씨 학원을 등록했다"며 "처음에는 화면이 시시각각 변하는 디지털 기기와 다른 종이와 연필을 아예 지루해하더라. 글쓰기가 이렇게 힘든 거였나 싶다"고 토로했다. 받아쓰기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해 태블릿PC로 자녀의 악필 교정을 해봤다는 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위약금이라도 주고 해임해라"란 문장의 오류 2024-03-03 16:41:33
‘-더’형 어미가 여러 개 있다. ‘-더라’를 비롯해 ‘-더니, -던, -던가, -던데, -던지, -던걸’ 등이 그것이다. 이들은 모두 지난 일을 말하는 형식으로, ‘-더’가 결합한 형태를 쓴다. ‘-드라, -드니, -든, -든가, -든데, -든지, -든걸’처럼 ‘-든’형을 쓰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글맞춤법 제56항 규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