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포토] 독립운동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준비 끝~!!" 2023-06-28 16:30:01
시인 유적지(룽징시),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사적지(봉오동전투 기념비 인근)를 비롯한 독립운동 역사의 현장을 찾을 예정이다. 참가한 탐방대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2023 국외 보훈사적지 탐방단 발대식’이 28일 서울 현저동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열렸다. 이 탐방단은 5박 6일 일정으로 안중근 의사...
정우성, 신흥무관학교 설립 11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내레이션 참여 2021-12-29 08:30:08
대한민국 육군의 뿌리이자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군 양성기관이었던 신흥무관학교와 무장투쟁 선봉에 섰던 신흥 출신 3500명의 독립군을 조명한다. 정우성은 “평소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와 활동을 지지하는 한 사람으로 동참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며 “항일 무장투쟁사 역사의 굵은 줄기를 스튜디오에 앉아 목소리로...
김일성 회고록 논란에 하태경 "허용해야"…진중권 "성숙해졌다" 2021-04-23 11:02:47
김일성 주석의 항일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가 원전 그대로 국내에서 출판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고 생각을 밝혔다. 이에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하 의원이 많이 성숙해진 듯 하다"며 김일성 회고록은 "판타지 소설"이라고 했다. 출판사 민족사랑방은...
'김일성 회고록' 국내 출간 논란…통일부 "경위 파악하겠다" 2021-04-22 16:47:29
북한이 주장하는 김일성의 항일투쟁사가 담긴 이 도서는 국내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같은 내용의 책은 앞서 북한 노동당 출판사에서 1992년 4월15일 김일성의 80세 생일을 계기로 출간해 1998년까지 총 8권을 발간했다. 대법원은 2011년 8월 “북한이 대외 선전용으로 발간한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그때는 안 되고, 지금은 된다?…김일성 회고록 출간 '논란' 2021-04-22 11:05:14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김일성의 항일투쟁사를 담은 이 책은 1992년 4월 15일 김일성 80회 생일을 계기로 출판돼 1998년까지 조선노동당 출판사가 대외선전용으로 발간됐다. 문제는 이 책의 출간이 국가보안법 위반 가능성이 있다는 것. 국가보안법 7조(찬양·고무 등)는 반국가단체나 구성원 또는 그 지령을 받은 자의...
윤동주는 빙산의 일각…항일 독립운동을 '조선족 혁명사'로 2021-03-04 07:07:00
일각…항일 독립운동을 '조선족 혁명사'로 "신규식은 신해혁명에 참가한 조선족…조선족 민족운동의 요람 신흥학교"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김좌진의 대한군정서는 조선족 반일무장단체로 전시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중국 박물관에서 한국의 항일 독립운동사 상당 부분을 '조선족 혁명투쟁사'로...
중국학자 "청산리대첩, 만주 항일투쟁사에서 길이 빛날 사건" 2020-10-26 19:11:33
항일투쟁사에서 길이 빛날 사건"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한 중국인 학자가 일제강점기 독립군 최대 전과로 꼽히는 청산리전투에 대해 "만주 항일투쟁사에서 길이 빛날 역사적인 사건으로, 조선인의 강렬한 반일 민족의식을 반영한다"고 평가했다. 사오위춘(邵宇春) 전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당사연구소 교수는...
'독립운동가 11명 배출' 하동군 양보면에 기적비 건립 2019-06-10 14:52:15
달을 맞아 군내 양보면 양보공원에 항일독립운동가 업적을 기리는 기적비를 건립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기적비에 이름을 올린 항일독립운동가는 감당리 김용실, 운암리 김홍권·박내홍, 장암리 이범호·정섬기·정성기, 통정리 이병도·이재기, 우복리 이세기, 봉곡리 정승유, 박달리 이병홍 선생 등 11명이다. 높이 3m...
[신간] 사건과 인물로 본 임시정부 100년 2019-05-09 14:55:57
러시아·중국의 임시정부 유적지와 항일 독립투쟁 현장을 답사하고 현지 관계자들의 목소리도 직접 들어 다양한 역사 기록과 함께 책에 담았다.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 직전에 미주에서 활동한 전명운, 정재관 등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왔다는 사실과 1909년 단지동맹(斷指同盟)을 맺은 장소가 독립운동가 최재형 저택임을...
임정 수립 100주년 특별기획 라디오 드라마 '임청각' 방송 2019-04-04 09:05:41
등 50년에 걸쳐 벌인 항일운동 모든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석주 선생 아들로 항일운동 최전선에 있던 동구 이준형의 1인칭 시각으로 드라마를 전개하고 해설도 한다. 석주 부인 김우락 여사(백하 김대락 여동생), 며느리 이중숙 여사, 손부 허은 여사 등 임청각 여성이 펼친 처절한 독립투쟁사도 그려낸다. 드라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