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최고해상도 안드로메다 사진 완성…별 9천만개 구분 가능" 2025-01-20 09:59:16
"허블망원경 10년 관측 성과…안드로메다 진화 역사 새 단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우리은하(Milky Way)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Andromeda)에 있는 별 9천만 개 이상을 구분할 수 있는 사상 최대·최고 해상도의 파노라마 사진이 완성됐다. 미국 워싱턴대 벤저민 윌리엄스 교수팀은 20일 국제...
[사이테크+] "빅뱅 후 6억년밖에 안된 우주서 초기 형성단계 은하 포착" 2024-12-12 09:25:03
렌즈처럼 작용한다. 반딧불이 스파클 은하는 허블 우주 망원경(HST)으로 처음 관측됐지만 너무 멀어 그동안 정확한 거리나 크기, 특성 등은 자세히 연구되지 못했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반딧불이 스파클 은하가 빅뱅 후 6억년 동안 형성된 초기 단계 은하라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이 은하에서 각각 6천만 광년과 4만...
투표권도 없는 암울의 시대 "'사일런트 스카이'는 위로" [종합] 2024-12-09 15:37:52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가 없었다면 허블의 법칙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천문학계에서 큰 업적을 세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헨리에타 레빗이 살던 19세기 초는 여성이 하버드대 천문대에서 망원경을 사용할 수 없었기에 육안으로 사진건판에 찍힌 관측 자료를 분석하는 일명 '하버드 컴퓨터'로 일을...
머스크 최측근 억만장자 기업인, NASA까지 접수 2024-12-05 17:28:30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더 높이 비행했다. 지난 9월엔 스페이스X의 ‘폴라리스 던’ 프로젝트에 참여해 민간인 최초 우주 유영이라는 기록을 썼다. NASA 수장 지명 후 아이작먼은 X(옛 트위터)에 “나는 우주에서 지구를 볼 수 있는 행운을 누렸고, 미국이 인류 역사상 가장 놀라운 모험을 주도하는 것에 열정을 갖고...
[사이테크+] "목성 남북극에 지구 크기 연무 형성…원인은 자기 소용돌이" 2024-11-27 05:00:01
후반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처음 발견됐고 2000년 목성을 지나간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북극에서 발견됐지만 주목받지 못했으며, 반점이 형성되는 원인도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허블망원경으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매년 관측해 시간에 따른 대기 역학·진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OPAL)에서...
[게시판] 신한카드,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우주 담은 카드 출시 2024-10-17 09:45:02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우주 사진 365장을 카드 플레이트에 입힌 '신한카드 처음 애니버스(ANNIVERSE) 에디션'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애니버스는 기념일(Anniversary)과 우주(Universe)를 합성한 단어로 고객의 기념일과 우주의 경이로움을 연결한다는 뜻을 담았다. 고객이 기념하고 싶은...
서울시가 다리 놓자…핀테크 혁신 쏟아졌다 2024-10-08 17:42:47
‘허블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한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올해 서울시가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증권과 공동 주최한 ‘제3회 피노베이션 챌린지’의 대상 격인 서울특별시장상을 거머쥐었다. 서울시가 가교 역할을 해준 덕분에 앤톡은 지난 석 달 동안 신한은행과 협업해 기술을 한층 고도화할 수 있었다고 박...
새로운 블랙홀 증거 발견됐다 2024-07-11 05:57:46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허블우주망원경(HST) 관측 데이터를 분석, ω켄타우리 중심부에서 중간 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시사하는 별들의 빠른 움직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블랙홀은 크기에 따라 질량이 태양의 5~150배인 항성 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것과 같은 태양 질량 10만 배...
[사이테크+] "1만8천광년 밖 ω켄타우리에서 태양 8천200배 블랙홀 발견" 2024-07-11 05:00:01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허블우주망원경(HST) 관측 데이터를 분석, ω켄타우리 중심부에서 중간 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시사하는 별들의 빠른 움직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블랙홀은 크기에 따라 질량이 태양의 5~150배인 항성 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것과 같은 태양 질량 10만 배...
콘텐츠랩블루, SF소설 '천 개의 파랑' 웹툰 계약 완료 2024-07-01 13:51:05
파랑'(허블출판사)의 웹툰 계약을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 '천 개의 파랑'은 2019년 한국과학문학상 장편대상을 받은 작품으로 로봇과 동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종의 경계를 지우고 보듬어 안는 따뜻한 상상력과 담백하고 깔끔한 전개가 돋보이는 수작이란 호평을 받았다. 소설은 기술이 점점 인간의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