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노바티스, 보이저社와 유전자치료제 개발 협력 확대…최대 13억 달러 딜 성사 2024-01-03 13:03:55
2일(현지시간) 노바티스와 전임상단계의 헌팅턴병과 척수성 근위축증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해 독점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노바티스는 신규 발행된 보이저 주식 2000만 달러어치 매입을 포함해 총 1억 달러를 선불로 지급했다. 이후 단계별 로열티로 최대 12억달러를 추가 지불...
종근당·오름 기술수출 성공…"글로벌 빅파마, 투자 활발해질 것" 2023-11-07 10:06:44
맞출 가능성이 있다”며 “샤르코마리투스 병 외에도 헌팅턴병, 알츠하이머 치매, 원발성타우병증, 루게릭병에도 치료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노바티스는 2025년부터 심혈관질환 부문 블록버스터 ‘엔트레스토’의 특허 만료가 예정돼있다”며 “2026년부터 매출 급감이 불가피한 만큼 후속 후보물질(파이프라...
'기술수출 홈런' 종근당…국산 신약 개발 속도낸다 2023-11-06 18:49:16
착안해 치매, 헌팅턴병 치료제 연구 등을 이어왔다. 희귀 근육질환인 샤르코마리투스도 그중 하나다. 프랑스에서 유럽 임상 1상시험을 마쳤다. 제대로 된 치료제가 없어 신약 개발 수요가 높다는 점도 고려한 결정이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20년 3월 이 물질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심장질환 치료 가능성도...
종근당, 노바티스에 1.7조 기술 수출 2023-11-06 18:43:04
착안해 치매, 헌팅턴병 치료제 연구 등을 이어왔다. 희귀 근육질환인 샤르코마리투스도 그중 하나다. 프랑스에서 유럽 임상 1상시험을 마쳤다. 제대로 된 치료제가 없어 신약 개발 수요가 높다는 점도 고려한 결정이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20년 3월 이 물질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심장질환 치료 가능성도...
CGT 석학 한국서 모였다…"맞춤형 줄기세포 치료하는 시대 올 것" 2023-10-27 17:25:24
경화증, 헌팅턴병 등 다양한 질환으로 치료 범위를 확대해나가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국내 난치성 척추질환 전문가인 한인보 분당차병원 교수도 퇴행성 디스크로 인한 만성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자 임상 결과를 소개했다. 그는 “환자의 디스크 돌출이 감소했고 실제 환자들의 통증이 줄어든 것을...
진코어, 헌팅턴병 유전자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연구과제 선정 2023-07-13 19:19:18
헌팅턴병 유전자치료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2023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유효물질단계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에 존재하는 특이서열의 반복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나타나는 유전질환으로 무도증, 정신증상 및 치매가 주된 증상이다. 진코어는 독자기술인 초소형 유전자가위...
골드만삭스, 퀀테릭스 매수로 상향...목표가 27달러 2023-05-24 00:48:58
아울러 골드만삭스는 퀀테릭스 목표가격을 27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전 거래일 종가에서 40% 이상 상승여력이 있음을의미한다. Matthew Sykes 골드만삭스 분석가는 퀀테릭스가 알츠하이머병 진단뿐만 아니라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다발성경화증 및 헌팅턴병을 포함한 다른 조건에 대한 동반 진단 테스트의 리더가...
영국에 3명 유전자 지닌 아기 출산…희소질환 막을 체외수정 2023-05-10 12:08:02
심장병, 지적장애,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비만, 당뇨병, 암 등의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 6천명 중 1명이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유전을 막기 위한 이른바 미토콘드리아 기증 시술(MDT)은 아기 아버지의 정자와 정상 미토콘드리아를...
[사이테크+] 체온 낮추면 오래 사는 이유…"손상단백질 청소 활발" 2023-04-05 06:00:11
분해에 대한 저온의 유익한 효과가 억제돼 헌팅턴병과 루게릭병 같은 노화 관련 질환에 걸리게 만든 예쁜꼬마선충 모델에서 손상된 단백질이나 잘못 접힌 질병 관련 단백질 축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람 세포를 배양해 체온보다 0.5℃ 낮은 36℃에 노출하는 실험에서도 PSME-3에 해당하는 활성 단백질의 활동이...
셀리버리,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효능 검증시험 중" 2022-12-21 13:55:45
중이란 설명이다. 헌팅턴병은 만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유전성 희귀질환이다. 비정상적인 염기서열 반복에 의해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이 생성돼 발생한다. 이 단백질은 중뇌 기저핵 부위의 신경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 신체적 능력이 떨어지며, 악화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셀리버리는 회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