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원용연 리프티크피부과 원장 "겨울 피부관리, 샤워 짧게하고 3분 안에 보습해야" 2025-01-07 11:00:09
주위에 바르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더 건조해질 수 있다"며 "보습제를 덧발라주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멍 빨리 빼려면 5~7일 내 리프팅 치료 필요원 원장은 피부 노화, 약물, 장시간 햇빛 노출, 성형시술 등으로 생길 수 있는 멍을 빨리 빼는 비법에 대해서도 전했다. 멍은 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혈관 내에 있던 적혈구가...
아리바이오, "저주파 진동 자극이 뇌 세포 손상 억제" 2024-12-10 15:37:12
의해 손상된 세포(신경모세포종)에, 저주파 진동(40 Hz) 자극을 30분간 3일 동안 적용했다. 그 결과 저주파 진동 자극이 베타-아밀로이드의 부정적 영향을 억제하여 대조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자가 포식을 활성화하는 특정 단백질들이 증가하여 뇌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JW중외제약, 美안과학회서 당뇨망막병증 신약 전임상 결과 공개 2024-05-09 10:05:07
모세혈관 기능과 형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별아교세포와 혈관주위세포를 관찰했다. 이와 함께 혈관 손상으로 발생하는 혈액 구성성분의 누출량 변화도 측정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4주, 16주 투여군 모두 당뇨에 의해 증가된 망막혈관누출이 감소했으며, 망가진 혈관 주변의 별아교세포가 회복됐다. 특히 병증...
시지바이오, ‘히알루론산 겔’ 연골 재생 능력 입증 2024-03-20 09:26:31
그러나 연골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통과하지 않는 조직인 데다 인체의 무게를 지탱하며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한번 손상되면 자연 치유가 불가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법으로는 연골 자체의 재생 및 회복이 불가하다. 통증 및 염증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 또는 연골 주위로 윤활성을 띈 물질을 주입해 더...
"치주 질환-치매 연관, 또 다른 증거 있다" 2023-07-13 10:51:10
뇌세포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치주 질환은 개방된 상처이기 때문에 구강 박테리아가 혈관으로 들어가 혈류를 타고 신체의 어떤 부위로도 이동할 수 있다. 이 박테리아는 혈뇌장벽도 통과해 뇌로 들어가 소교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자외선' 이 정도일 줄은…"점 크기 변했다면 병원 찾아야" 경고 [이지현 기자의 생생헬스] 2023-06-30 10:47:31
기저세포암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편평세포암은 피부의 가장 바깥에 있는 각질층에서 암이 생기는 질환이다. 햇빛 등에 오랜 기간 노출돼 각질로 덮인 병변이 생기는 광선각화증, 보웬병 등이 좀더 진행해 암으로 이어지는 환자가 많다. 자외선 노출이 가장 큰 위험 요소다. 비소나 공업용 물질, 방사선 노출 등도...
생체 친화적인 인공 혈액·뇌 장벽 모델 개발 2023-02-16 17:29:54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혈관내피세포, 별아교세포, 혈관주위세포를 배양해 인체의 혈액·뇌 장벽 기능을 모사한 체외 모델을 구축했다. 혈액·뇌 장벽은 뇌 기능에 필수적인 물질만 통과시켜 외부 물질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혈액·뇌 장벽 모델 개발에 주로 사용된 플라스틱 소재의 다공성 막은 생체...
과학과 예술의 결합, 한 폭의 그림 같은 미세 과학의 세계 2022-07-14 11:19:03
폭의 그림처럼 펼쳐 보이는 것이다. 생물의 세포와 세균 등은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을 받았을 때 빛을 내는 ‘형광 현상’을 일으키는데, 형광 현미경을 활용하면 이런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림은 태어난 지 5일 된 생쥐의 망막 혈관이 성장하며 뻗어 나가는 과정을 촬영한 것이다. 초록색 빛을 내는 망막 혈관과 붉은색...
면역세포를 '성장 도우미'로 만드는 암세포 '최면제' 발견 2022-06-22 17:54:38
혈관을 만들고 다른 세포들을 주변으로 끌어들이는데 이를 종양 미세환경이라고 한다. 인간과 생쥐 모델의 연조직 육종 샘플을 비교 분석하던 중 특이한 현상이 눈길을 끌었다. 대다수 종양 샘플의 미세환경엔 골수세포(myeloid cell)가 유난히 많았다. 예컨대 종양이 미세환경에 끌어들인 면역세포 가운데 골수세포의...
시지바이오, 中 커뤈시메디칼과 골대체재 수출 계약 체결 2022-03-22 10:37:21
주위 골조직과 화학적으로 직접 결합함과 동시에 신생골이 형성되기에 최적의 조건인 300μm기공으로 구성돼 뼈와 혈관이 빠르게 생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인체 내줄기세포를 뼈세포로 빠르게 분화시켜 새로운 뼈 생성을 촉진해 주는 골형성 촉진 단백질(rhBMP-2)을 탑재한 골대체재인 노보시스 덴트의 운반체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