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엘앤제이바이오, 알츠하이머 치료제 ‘AL04’ 美 특허 등록 2024-10-29 10:03:38
혈뇌장벽(BBB)을 통과해 약물이 뇌세포 내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돕는다. 이러한 작용으로 AL04는 기존의 항체 치료제보다 더 넓은 범위의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번 미국 특허 등록을 통해 엘앤제이바이오는 세계 최대의 치료제 시장인 미국에서 독점적인 권리를 확보하게...
엄민용 애널 "약물전달기술 특화된 '플랫폼 바이오'강국 기대" 2024-05-15 13:51:08
3상 진입이 지켜질지 기대된다"고 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사노피와 혈뇌장벽(BBB) 전달 플랫폼을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을 1조3000억원 규모에 기술이전했다. 계약금과 단기 마일스톤으로만 1600억원을 수령했다. 리가켐바이오도 1세대 ADC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2세대 ADC 링커(ADC 전달 플랫폼)가 적용된 LC...
"혈뇌장벽 잠시 열고 치매약 투여하면 효과 크다" 2024-01-08 09:15:44
"혈뇌장벽 잠시 열고 치매약 투여하면 효과 크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뇌혈관의 '검문소'인 혈뇌장벽(BBB)을 집속 초음파로 잠시 열고 치매 치료제를 투여하면 효과가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혈뇌장벽은 뇌혈관 벽에 특수 세포와 물질들이 밀집해 마치 '지퍼'(zipper)처럼 단단하게...
"수술 후 섬망 원인은 혈뇌장벽 누출" 2023-10-13 10:46:03
섬망 원인은 혈뇌장벽 누출"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수술 후 노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섬망은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누출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섬망은 주의력, 언어능력 등 인지기능 저하와 정신병적 장애가 갑작스럽게 나타난다. 환각, 환청, 초조함, 떨림과 함께 안절부절못하고, 잠을...
"치주 질환-치매 연관, 또 다른 증거 있다" 2023-07-13 10:51:10
박테리아는 혈뇌장벽도 통과해 뇌로 들어가 소교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혈뇌장벽은 특정 혈관벽에 특수 세포와 물질들이 밀집해 마치 '지퍼'처럼 단단하게 조여진 곳으로 중요한 영양소만 선택적으로 뇌로 들여보내고 해로운 물질은 차단하는 한편 뇌의 노폐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상성 뇌 손상, 조기 사망 위험↑" 2023-01-26 10:40:28
손상으로 나누어진다. 1차적 손상은 뇌 조직의 왜곡(distortion)과 파괴이고 2차적 손상은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기능 장애, 뇌 용적이 증가하는 뇌부종(edema), 신체의 조직이나 장기로 가는 혈액 공급이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가 되는 허혈(ischemia), 두개 내 고혈압(intracranial hypertensio...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2022-09-06 18:01:57
운동 뉴런의 생존을 도왔다. 원래 GDNF는 혼자서 혈뇌장벽을 넘지 못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줄기세포 이식으로 혈뇌장벽을 우회하기로 했다. 이식한 줄기세포에서 GDNF를 만드는 신경아교세포가 분화했으니 결국 GDNF를 직접 투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났다. ALS 환자는 대체로 두 다리의 근력을 비슷한 비율로 상실한...
불치의 뇌종양 '교아종', 굶겨 죽이는 '역발상' 치료법 개발 2022-09-02 18:01:43
루트가 혈뇌장벽에 막혀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성상교세포의 유전체에서 유력한 치료 표적을 찾아냈다. 성상교세포가 만들어내는 'ABCA1'이라는 콜레스테롤을 종양에 운반하는 특정 단백질이 그것이다. 이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게 종양 주변 성상교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하자 단 며칠 만에 종양이 굶어 죽었다....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2022-08-25 18:24:29
'혈뇌장벽'을 정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성상교세포의 '종말 단추'는 뇌의 미세한 혈관을 감싸고 혈류 조절을 돕는다. 독성 단백질 등 뇌의 노폐물을 바깥의 혈류로 배출하는 완벽한 위치에 자리 잡은 게 바로 성상교세포의 '종말 단추'인 것이다. 연구팀은 꼬리 달린 아쿠아포린-4를 늘리면 뇌의...
알츠하이머 정복 임박? '궤도 이탈' 소교세포, 정상 복구 성공 2022-08-12 18:12:49
중추 신경계의 면역 기능을 담당한다. 중추신경계의 교세포는 이밖에 혈뇌장벽(BBB)을 구성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성상세포(astrocyte), 신경 줄기세포 역할을 하는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 축삭을 감아 수초를 형성하는 희돌기세포(oligodendrocyte) 등이 있다. 건강한 소교세포는 중추신경계의 노폐물과 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