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치매·자가면역 신약 개발 순항…오스코텍 "내년 기술수출 2건" 2024-12-01 18:08:57
선택적 억제제다. SYK라는 인산화효소를 억제하면 면역세포 활성도가 떨어지는데 이런 기전을 이용해 류머티즘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한다. 세비도플레닙은 면역혈소판 감소증(ITP)을 겨냥한 임상 2상에서는 1차 지표를 충족하지 못했다. 다만 일부 환자 그룹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확보했다. 임상 기간에 혈소판...
HK이노엔, 세계 최대 소화기 학술대회서 신약 ‘케이캡’ 최신 연구 발표 2024-05-22 09:49:48
미치는 영향에 대해 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와 프로톤 펌프 저해제(PPI)를 비교한 비임상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과 PPI 제제의 상부 위장관 사건(GI events) 및 심혈관 합병증 감소 효과를 비교한 연구자 주도 임상이다. 두 가지 연구는...
"항응고제·항우울제 동시 투여, 출혈 위험 더 커진다" 2024-03-26 10:41:58
기자 = 항응고제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의 항우울제를 함께 투여하면 항응고제의 부작용인 출혈 위험이 더욱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몬트리올 유대교 종합병원(Jewish General Hospital) 임상 역학 센터의 크리스텔 레누 교수 연구팀이 주요 부위(위중) 출혈로 입원한 심방세동 환자...
경쟁사 J&J 임상 성공에도 한올바이오파마가 웃는 이유 2024-02-10 21:08:10
심각한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한다. TNF-α 억제제는 체내 면역세포가 정상 세포를 공격하면서 생겨나는 염증을 제거해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원리다. 하지만 항FcRn치료제는 세포 내에서 면역세포 분해를 막는 FcRn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해 좀 더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TNF-α 억제제의 대표 격인 휴미라의...
"뇌경색 생존자, 신세대 항우울제 투여 출혈 위험 없어" 2024-02-06 08:57:34
선별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선별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가 출혈 위험을 걱정할 필요 없이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재활의학 전문의 켄트 시몬즈 교수 연구팀이 전국 70개 대형 의료센터에서 뇌경색 치료를 받은 환자 66만6천150명의 전자...
"한올바이오파마, 기업가치 최소 2.4조원...극심한 저평가 상태" 2023-12-22 13:32:20
혈소판감소증에 이어 천포창까지 연속적으로 SC제형 임상에 실패했다. 엄민용 현대차증권 책임연구원은 "높은 항체감소율과 안전성으로 TNF-α 억제제인 휴미라, 엔브렐, 레미케이드 불응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공적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할만하다"며 "그레이브스벼만 아니라 류마티스 관절염 임상 결과 또한...
"심근경색 후 아스피린 꾸준히 복용하지 않으면 재발 위험 높아" 2023-08-23 11:00:37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이 처방된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혈액 응고 기능을 억제해 심근경색과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는 혈전 형성을 막는다. 심근경색 후 저용량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하지 않으면 심근경색 재발 위험이 상당히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비스폐비예르/프레데릭스베리 병원(Bispebjerg And...
"치매 신약 레켐비, 신세대 항우울제 함께 복용시 뇌출혈 위험" 2023-08-22 09:06:37
선별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의 신세대 항우울제 복용을 시작한 후 30일 내 레카네맙 투여는 피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 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21일 보도했다. 레카네맙 자체가 뇌내출혈 위험이 있는 데다 SSRI 계열의 항우울제도 미세출혈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기...
치매학회 이사장 "치매 예방·관리 위해 운동·사회활동·인지훈련 중요" 2023-07-19 11:32:26
항혈소판 제제는 그런 이슈가 없다고 알려졌다. 약제가 도입되면 프로토콜을 규정하고 이런 경우엔 되도록이면 쓰지 말라고 하는 방향으로 갈 것 같다." 뇌기능 개선제 급여 축소 피해는 환자에게 돌아가▶많은 뇌기능 개선제가 퇴출된 데 이어 콜린알포세레이트도 급여 축소 논란을 겪었다. "모든 환자가 레카네맙을 맞을...
대웅제약, 신약 출시 1주년 '펙수클루 위크' 개최 2023-06-28 10:39:34
개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이다. 펙수클루는 기존 PPI(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발현과 식이 영향, 약물 상호작용 등을 개선한 차세대 치료제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펙수클루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가운데 반감기가 9시간으로 가장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