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시진핑 군부장악 이상설에…軍기관지, '군사위 주석책임제' 강조 2025-01-08 11:54:27
않는 세력이 있는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왔다. 대만 연합보나 미국의소리(VOA) 등은 '주석 책임제에 대한 도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다만 쉬전 홍콩중문대 미래도시연구소 부소장은 대만 매체 인터뷰에서 "해방군보의 논평은 주로 군 내 반부패에 관한 것이고, 글이 비판하는 대상은 시진핑이 아니라 군...
트럼프 관세 압박에…中 기업들 돌파구 찾았다 2024-12-08 17:30:01
게재된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부과 위협이 현실화하면서 중국 수출업체들이 판매 시장 다변화를 위해 유엔 조달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기업이 관세 부담을 우회할 수 있는 동시에 아직 진출이 미흡한 유엔 조달시장에 관심을 높이고 있다고...
'불가능하다더니'...중국, 미국 제쳤다 2024-07-18 15:45:15
약 절반에 머물렀다. 대신 중국은 야채, 과일, 콩류, 견과, 씨앗, 밀, 귀리, 쌀, 보리, 옥수수 등 식물성 단백질이 전체 단백질 공급의 60.5%를 차지했다. 홍콩중문대 혼밍람 교수는 SCMP에 중국의 동물성 단백질 소비가 2000년께 급증하기 시작했다며 "옛날 중국인의 식단은 고기 중심이지 않았고 고기 소비는 부의...
불가능 예상 깨고…중국인, 미국인보다 하루 단백질 섭취 많아져 2024-07-18 15:27:59
약 절반에 머물렀다. 중국은 대신 야채, 과일, 콩류, 견과, 씨앗, 밀, 귀리, 쌀, 보리, 옥수수 등 식물성 단백질이 전체 단백질 공급의 60.5%를 차지했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의 1인당 하루 단백질 공급량은 15.81g 늘어났으며 그중 약 3분의 2가 식물성 제품에서 공급됐다. 반면 같은 기간 5.31g 늘어난 미국의...
같은 중국땅인데…마카오, 홍콩 언론학자 입경 거부 2024-06-17 14:51:04
홍콩프리프레스(HKFP)에 따르면 마카오언론인협회(MJA)는 페이스북을 통해 홍콩중문대 선임 강사 비비안 탐이 지난 15일 오전 홍콩에서 페리를 타고 마카오에 도착했으나 입경이 거부됐다고 밝혔다. 이어 탐 강사가 이민국에서 마카오 경찰에 30분간 붙잡혀 있다가 도로 페리를 타고 홍콩으로 돌아갔다고 덧붙였다. MJA는...
'美 우회수출 차단'에 中 태양광업체 기로…동남아 철수 움직임 2024-06-09 12:54:13
태양광 제품에 대해 약속한 재정 지원을 신청하기도 했다. SCMP는 여름철 일조량과 청정에너지 수요가 장점으로 꼽히는 중동 지역이 중국 업체들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도 전했다. 청타이룽 홍콩중문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의 압박은 계속될 것이고, 앞으로 중국 기업을 겨냥한 다양한 구실을 찾아낼 것"이라 중국...
쇼핑천국 옛말…'단돈 5만원 당일치기용' 전락 2024-02-14 12:41:28
천국'으로 적극 육성하면서 이제 중국 본토인들이 홍콩으로 사치품을 쇼핑하러 오는 것은 옛말이 됐다. 중국 주민들은 하이난에서 면세품 쇼핑에 연간 10만위안(약 1천850만원)까지 쓸 수 있지만 홍콩에서는 입경 때마다 5천위안(액 93만원)씩만 쓸 수 있다. 홍콩중문대 사이먼 리 명예연구원은 SCMP에 "중국 경제가...
"단돈 5만5천원에 홍콩 당일치기 여행"…지갑 닫은 中관광객 2024-02-14 12:16:45
본토인들이 홍콩으로 사치품을 쇼핑하러 오는 것은 옛말이 됐다. 중국 주민들은 하이난에서 면세품 쇼핑에 연간 10만위안(약 1천850만원)까지 쓸 수 있지만 홍콩에서는 입경 때마다 5천위안(액 93만원)씩만 쓸 수 있다. 홍콩중문대 사이먼 리 명예연구원은 SCMP에 "중국 경제가 여전히 도전에 직면해 있어 관광객들은 돈을...
홍콩, 비자 심사에 국가안보 위험 평가…기자·학자 겨냥? 2024-02-09 10:19:22
나온 것이라고 SCMP는 짚었다. 지난해 10월 홍콩중문대는 역사학과 로위나 허 부교수의 홍콩 비자 연장이 거부되자 그를 바로 해임했다. 허 부교수는 중국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연구해온 중국계 캐나다 시민권자로, 2019년 홍콩중문대에 임용됐으며 지난해 비자 연장을 추진해왔다. 중국에서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언급...
"中,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기술 수출금지로 가치사슬 강화" 2024-01-22 18:06:51
가공 기술을 따라잡으려면 최소 10년간의 대규모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싱가포르국립대 안토니오 헤리오 카스트로 네토 교수는 지적했다. 홍콩중문대 선전 캠퍼스의 돤샤오린 부교수는 SCMP에 "중국은 희토류에서 자국의 진정한 이점이 가공 기술과 완전한 산업망에 있음을 인식했다"며 "이번 수출 금지는 세계 시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