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봄철 산불 총력 대응으로 산불 피해 최소화 2024-06-04 13:50:49
담뱃불 실화 27건(17%), 화목보일러 사용 부주의 21건(13%), 작업장 부주의 실화 10건(6%) 등이다. 정부는 올해 봄철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며 총력 대응해 왔다. 행정안전부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영농부산물 소각 등 불법 소각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산림청, 농촌진흥청,...
"부주의로 인한 산불, 이제 그만!" 2024-04-09 11:29:23
협회는 산불 예방을 위해 산림 인접 주택 화목보일러실에 간이스프링클러 설치 지원사업을 지난해 11월부터 진행하고 있다. 약 1만여 가구의 화목보일러 사용 주택에 소화설비를 지원하며, 소방청과 협력해 오는 5월까지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아울러 협회는 산불 발생 원인과 대책을 알기 쉽고 흥미 있게 전달하기 ...
남성현 산림청장 "해외임차 헬기 7대 전국 배치 완료…봄철 대형산불 대응에 총력" 2024-03-28 16:10:27
외 산림과 연접된 화목보일러 재투기 등으로 의한 산불, 건축물 화재 비화 원인 산불이 늘고 있습니다.” ▷그래서 첨단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감시체계를 확대하는 겁니까. “산불 여부를 24시간 감시·판독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산불방지 ICT 플랫폼’을 전국에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개소에 올해 30개소로...
전기톱으로 땔감 자르던 80대, 절단 사고로 사망 2024-03-10 05:28:30
9일 오후 5시께 전남 장성군 삼계면 한 주택에서 80대 남성 A씨의 신체 일부가 전기톱에 절단됐다. 함께 있던 아내가 119에 신고해 A씨가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심한 출혈로 숨졌다. 경찰은 A씨가 전기톱으로 화목 보일러용 땔감을 자르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AI로 봄철 산불 막는다"…산림청, 감시체계 강화 2024-01-29 18:37:38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산림과 붙어있는 지역의 화목보일러 재처리 시설을 일제히 점검해 위험 요인도 제거하기로 했다. 산불 위험이 높은 지역은 입산을 통제하고 전체의 24%인 6887㎞의 등산로를 폐쇄해 실화를 최대한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산불감시체계인 ‘ICT 플랫폼’을 전국으로 확대하면 비교적 대응이 쉬운 초기 ...
화목보일러 관련 산불 7% 차지…산림청, 동해안권 일제 점검 2024-01-25 14:46:06
산림청은 31일까지 화목보일러의 타고 남은 재(灰)를 무단으로 버리는 ‘재(灰)투기’로 인한 산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동해안권 산림연접지역을 대상으로 일제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에서는 △화목보일러 설치장소 적합성 △지정된 연료 사용 여부 △연통 설치 상태 및 소화기 비치 유무 등 화목보일러의...
산불 78%가 부주의 탓…담배꽁초·쓰레기 소각·불씨 방치 '3대 원인' 2023-11-27 16:02:04
함께 산림 인접 주택에서 주로 쓰는 화목보일러에 간이스프링클러를 설치해 주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화목보일러는 나무를 땔감(화목)으로 쓰는 보일러로 장작이나 톱밥을 뭉친 펠릿을 주로 태운다. 비용이 저렴하지만 나무를 태울 때 나오는 불씨가 산림으로 날아가 산불로 번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지난해 4월...
부탄가스 버린다고 구멍 잘못 냈다간 '폭발', 올바른 처리법은… 2023-11-22 08:51:53
사고 유형으로는 난로나 화목보일러 등 화기 근처에 놓거나 뜨거운 물에 담가 폭발하는 사고 19건(8.5%),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끼우다가 다치는 사고 4건(1.8%)이었다. 사용 중 사고로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사용 중 폭발 56건(25.1%), 난방기 부탄가스 사용 중 가스 누출로 인한 중독 17건(7.6%), 토치에 연결하여 사용 중...
산림청, 가을철 산불대응에 총력 2023-10-30 14:02:48
인접지의 화목보일러를 사전 점검해 산불 발생을 차단하기로 했다. 불법 소각행위 과태료를 100만원 이하에서 200만원 이하로 상향하는 산림재난방지법 등도 제·개정 할 방침이다. 인공지능(AI) 기반 산불감시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을 올해 말까지 10개소 구축할 계획이다. 산불위험정보 예보를 단기(3일) 위주에서...
올 봄철 산불로 4654㏊ 산림 피해 2023-05-17 15:47:46
매년 화목보일러 재(灰)처리 시설을 일제 점검하고, 강풍 경보(초속 21m 이상) 때 화기 취급 작업을 제한하기로 했다. 대규모 송전 선로 인근 산불 위험 목(전신주 반경 1.5m 이내)은 정리하거나, 키 작은 나무로 대체하고,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산불감시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 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