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또 발암물질 등 검출…"전부 판매 중단" 2024-09-19 13:48:40
판매하는 생활화학제품과 액세서리 다수가 국내 안전기준에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 등 외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파는 생활화학제품과 금속 장신구 558개를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직구'해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69개(12.4%)에 화학제품안전법과 화학물질등록평가법 등...
지난해 '리콜' 21.6% 감소…자동차는 5.8% 증가 2024-08-18 12:00:02
화학제품안전법·약사법 관련 리콜 감소 두드러져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지난해 제품 결함으로 인한 '리콜' 건수가 1년 전보다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리콜은 배출가스 관련 부품 결함 등의 이유로 5.8%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리콜(결함 보상)...
지난해 리콜, 전년比 줄어…"해외 제품 감시 강화" 2024-08-18 12:00:00
2,109건에서 1,623건으로 486건(23.0%) 줄었다. 관련법 기준 화학제품안전법, 소비자기본법, 자동차관리법, 제품안전기본법, 약사법, 의료기기법, 식품위생법 등 7개 법률에 따른 리콜 건수가 2,663건으로 전체의 94.7%를 차지했다. 화학제품안전법에 의한 리콜이 489건(34.5%), 약사법이 182건(41.2%) 감소한 것이 전체...
발암물질 쇼크…'알·테·쉬 직구' 브레이크 걸렸다 2024-05-16 18:54:40
대상에 올린 품목은 어린이용품과 전기·생활용품, 생활화학제품 등 80개다. 유모차, 보행기, 자전거, 섬유 제품, 물놀이기구, 놀이기구 등 어린이제품법에 규정된 34개 품목이 모두 규제 대상이다. 어린이 용품이 KC인증을 받지 못하면 해외 직구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KC인증이 없는 전선, 코드, 스위치, 조명기구, 전...
"KC인증 없으면 해외직구 안돼"…알리·테무에 칼 빼든 정부 2024-05-16 12:00:14
큰 전기·생활용품 34개 품목, 가습기용 소독·보존제 등 생활화학제품 12개 품목 등 총 80개 품목의 경우 KC인증 없이 해외직구를 금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중 어린이제품법, 전기생활용품안전법, 화학제품안전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해외직구 차단 대상 품목 구분 품목 어린이제품(34개)...
한국생활화학제품·살생물제협회, 환경부 설립 허가 "상호교류 주체로 역할 수행" 2024-03-29 10:27:43
법률(화학제품안전법, 2018년 제정)의 취지에 맞춰 지난해 3월 출범했다. 협회는 국내외 40여 개 기업으로 구성됐으며, 최덕호 팜클 이사회 의장을 초대회장으로 선임해 활동하고 있다. 금번에 '환경부 및 기상청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과 감독에 관한 규칙' 제4조에 의거해 환경부 소속 사단법인 설립 허가가...
"건강에 해가 없다더니"…'무독성' 세제 실체 알고 '충격' 2024-03-14 13:29:51
생활화학제품에서 '건강에, 환경에 해가 없다'는 사실과 다른 문구가 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생활화학제품 50개의 표시·광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표시·광고 의무를 소홀히 한 사례가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조사 대상 제품 50개 중 14개 제품에서 관련법 규정상 금지된 광고 문구를...
'무독성'·'친환경'…생활화학제품 표시광고 위반 '수두룩' 2024-03-14 12:00:19
소비자원은 밝혔다. 화학제품안전법상 표시·광고 규정을 어겼다고 지적받은 사업자들은 소비자원 시정 권고에 따라 이를 개선하겠다고 알려왔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사업자정례협의체와 공유해 사업자가 선제적으로 위험 경고용 촉각 표시를 도입하고 캡슐형 세탁세제의 외부 포장을 개선하도록 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 파트너사 화학물질 규제 대응 역량 강화 2023-05-25 14:26:29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학제품안전법(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대한 최신 정보 교류를 가졌다. 전문 인력 부재, 비용 등의 문제로 미국, 유럽 등 글로벌 국가들의 화학물질 규제현황 파악에 대한 어려움을 인지하고 해외 관련 법안 변화 트렌드를 공유하는 한편 글로벌 공급망...
살균제·살충제에 쓰이는 살생물물질 48종 사용 승인 2022-12-30 06:00:07
화학제품 및 살생물제 관리위원회'에서 올해까지 사용승인이 유예된 살생물물질 가운데 승인을 신청한 116종에 대해 심의해 안전성과 효과가 검증했다. 사용이 승인된 물질은 화학제품관리시스템(chemp.me.go.kr)에 공개되며 이들 물질을 이용한 제품은 별도로 2024년까지 과학원의 검증을 거쳐 승인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