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적외선도 감지하는 '모기'…퇴치 방법 찾았다 2024-08-23 13:06:08
열 등을 감지해 공격 대상을 찾는 것으로 알려진 '모기'가 체온에서 나오는 '적외선(IR) '까지 이용해 공격 대상을 찾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SB) 크레이그 몬텔 교수팀은 23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실험 결과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암컷이 사람...
[사이테크+] 모기는 왜 나만 물까?…"체온에서 나오는 적외선도 감지" 2024-08-23 10:47:07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이집트숲모기는 매년 1억 명 이상에게 뎅기열, 황열, 지카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옮기며, 감비아 학질모기(Anopheles gambiae)는 매년 4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는 말라리아 원충을 퍼뜨린다. 수컷 모기는 해가 없지만 암컷 모기는 알을 낳기 위해 동물의 피가 필요하다. 100여년 간...
[책마을] 인도에 52.9℃ 폭염…우리는 더위로 죽을 것 2024-06-14 18:55:34
뒤바뀌고 있다. 플로리다에 출몰한 이집트숲모기가 단적인 예다. 열대지방에서 뎅기열과 지카 바이러스, 황열을 옮기는 매개체다. 모기도 너무 뜨거운 곳에선 못 산다. ‘살기 좋은’ 서늘한 곳으로 이주를 선택한 것이다. 저자는 “코로나19는 팬데믹의 예고편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평균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미...
"피 빨리게 생겼네"…물 건너온 뇌염모기, 국내서 첫 발견 2023-06-13 06:50:38
9일 빨리 발견된 것이다. 다만 채집된 모기를 대상으로 병원체 5종(일본뇌염,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확인 검사를 한 결과, 병원성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보건환경연구원은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3월 23일 제주와 부산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확인돼...
동남아 여행 '뎅기열' 조심하세요 2022-12-16 17:58:40
모기매개감염병은 뎅기열, 황열, 치쿤구니야열, 웨스트나일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 5종이다. 뎅기열 추정 감염 국가는 베트남이 가장 많았다. 이어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 등이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작년에는 뎅기열 환자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코로나19 방역지침 완화로 해외여행객이...
"동남아 다녀온 여행객 조심해야"…전문가들 경고한 질환 2022-12-16 09:57:39
검사하고 있는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은 뎅기열, 황열, 치쿤구니야열, 웨스트나일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 5종이 있다. 뎅기열 추정 감염 국가는 베트남이 가장 많았다. 이어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 등이 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작년에는 뎅기열 환자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코로나19...
숙주 체취 바꿔 모기 꼬이게 만드는 바이러스의 영악한 확산전략 2022-07-01 15:57:34
두 바이러스 모두 황열과 일본뇌염,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등과 같은 플라비바이러스 속(屬)에 속한다. 연구팀은 말라리아와 일반 염증이 인간의 체취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지카와 뎅기 바이러스 감염도 같은 작용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단서로 삼았다. 우선 모기가 지카나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를 더...
[생활속의 건강이야기] 모기로 전파되는 질병 2021-04-18 16:47:35
물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국내에서 매개 모기를 통해 감염 가능한 일본뇌염, 말라리아 외에 해외여행 시 모기에 물려 감염될 수 있는 질환은 황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있다. 따라서 국외 여행 후 모기 매개 질환을 의심할 만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의원을...
고양이가 캣닙·개다래나무 잎에 사족을 못 쓰는 이유는 2021-01-21 11:39:23
물질이 모기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나 기생 곤충 퇴치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일부 새가 감귤류 과일을 몸에 발라 해충을 쫓고 침팬지는 해충 퇴치 효과가 있는 나무로 잠자리를 만드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고양이의 네페탈락톨 이용은 "동물이 식물 대사물질을 해충 퇴치에 활용하는 한 사례일 뿐"이라고...
[사이테크 플러스] "뎅기열 매개 이집트숲모기, 인공조명 있으면 더 많이 문다" 2020-10-21 08:56:18
문다" 미국 연구팀 "인공조명 있으면 흡혈행동 배 이상 증가…모기장 사용해야"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야간 인공조명이 뎅기열이나 황열 등 전염병을 옮기는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mosquito)의 무는 행동을 배 이상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터데임대학 길레스 더필드 교수팀은 21일 보건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