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드르릉 컥' 잠잘 때 멈추는 호흡, 무시했다간… [건강!톡] 2024-12-19 09:47:29
조사한 결과를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을 통해 공개했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으로 혈중 산소 수치가 낮아지면 기억과 사고를 담당하는 뇌 부위인 해마가 커지고, 백질 부위의 손상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뇌 건강 저하의 일반적인 현상과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자다가 '컥' 수면무호흡증…뇌구조 변화 초래 '아뿔싸' 2024-12-19 09:42:19
백질(white matter) 부위의 손상이 증가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이애미대학 알베르토 R. 라모스 교수팀은 라틴계 미국인 2천600여명을 대상으로 수면 무호흡증과 뇌 변화의 관계를 10년간 추적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9일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밝혔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 뇌구조 변화 초래…해마 부피·백질 손상 증가" 2024-12-19 09:22:03
사람은 기억과 사고를 담당하는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가 커지고 백질(white matter) 부위의 손상이 증가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이애미대학 알베르토 R. 라모스 교수팀은 19일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라틴계 미국인 2천600여명을 대상으로 수면 무호흡증과 뇌 변화의 관계...
'제2회 장수인자 HDL 심포지엄' 열린다…혈관 건강 동향 공유 2024-08-20 16:41:02
27일 ‘제2회 장수인자 HDL 심포지엄’이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다. 작년에 이어 올해 2회째를 맞은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세계 각국의 HDL 연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HDL이 인간의 건강과 장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HDL(고밀도 지단백질)은 체내에서 혈관을 건강하게...
조현병 전단계면 뇌조직에 이상 보인다…서울대병원 연구 2023-10-27 16:06:34
사회적 기능 장애를 동반한다. 발병과 함께 회백질 감소 등 다양한 뇌조직의 변화가 발견되지만, 전단계에서 일어나는 뇌 변화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간이 지날수록 인지기능이 떨어질 수 있어 전단계나 초기(4~5년 내)에 발견해 빠른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연구팀은 ▲초발정신증군(조현병 초기 단계, 101명)...
뉴로핏, 'KCR 2023' 참가…뇌신경 퇴화 분석 소프트웨어 소개 2023-09-22 09:51:35
백질의 뇌 피질 침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데, 뉴로핏 스케일 펫을 통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침착을 정량적 수치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투여 환자에게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 부작용이 종종 발생하는데, 뉴로핏은 ARIA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이 가능한...
뉴로핏, KCR 2023서 알츠하이머 영상 바이오마커 분석 기술 소개 2023-09-22 08:59:40
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항 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다. 치료제 투약 전후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뇌 피질 침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회사는 뉴로핏 스케일 펫을 통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침착을 정량적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알츠하이머 치료제 투여 환자에게는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나이 들어 친구 없으면 '뇌 부피' 줄어든다 2023-07-13 23:38:42
접촉이 가장 많은 사람에 비해 전체 뇌 부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 백질(white matter)과 회백질(gray matter) 부피가 뇌, 뇌척수막, 뇌척수액을 포함한 전체 두개골 내 부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사회적 접촉이 가장 적은 그룹은 67.3%인 반면 접촉이 가장 많은 그룹은 67.8%였다. 사회적 접촉이 적은 그룹은 해마...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통증, 치매 위험 높인다" 2023-02-21 10:34:24
경우 해마 회백질의 부피가 만성 통증이 없는 62세의 해마와 비슷했다"며 만성 통증 부위 수가 늘어날수록 해마의 부피 감소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몸의 5곳 이상에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은 해마 부피가 통증 부위가 두 곳인 사람에 비해 거의 4배나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화가 최대 8년은 더...
중기 옴부즈만, 올해 238건 규제 발굴…31% 개선 2022-12-28 14:59:24
및 조단백질 분석법의 추가 분석법 도입 등의 개선성과를 이뤄냈다. 박 옴부즈만은 “한 해 전국을 돌며 많은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만나면서 풀어야 할 규제가 여전히 많다는 것을 느꼈다”며 “내년에도 기업이 규제의 모래주머니를 풀고 마음껏 도약할 수 있도록 현장으로 달려가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옴부즈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