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국경제학회 신태환학술상 수상자에 유병삼 연세대 명예교수 2025-02-04 11:41:52
학회 경제학연구 논문상은 우진희 숭실대 교수·김선빈 연세대 교수·홍재화 서울대 교수(건강보험 재정 건전화 방안의 세대별 후생효과 : 중첩세대모형을 이용한 분석)에게 돌아갔다. 시상식은 오는 6일 한남대에서 개최되는 2024년도 한국경제학회 정기총회에서 열린다.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한국경제학회, 2025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6~7일 한남대서 개최 2025-02-04 10:45:02
‘경제학 연구 논문상’ 우수논문상에 우진희(숭실대), 김선빈(연세대), 홍재화(서울대) 교수 공저의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 방안의 세대별 후생효과: 중첩세대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최종 선정하고 시상식을 연다. 김홍기 한국경제학회장은 “한국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에서 이번 경제학...
대기업 쇼핑몰들은 왜…'올·다·무' 모시기에 열 올리나? 2024-11-11 17:19:43
한 개인이나 기업의 행위가 제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에 대한 대가나 비용은 지급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외부효과엔 긍정적 외부효과와 부정적 외부효과가 있다. 올다무가 주변 상권을 살리는 것은 제3자에게 이득을 주는 긍정적 외부효과의 사례다. 주택가 골목의 편의점이 24시간 영업하면서 심야 시...
[커버스토리] 무료배달, 값싼 공공요금…달콤한 유혹의 결말은? 2024-10-14 10:02:01
자유주의 경제학의 대가인 오스트리아 출신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대중의 인기를 얻기 위한 가격통제는 시장 기능을 마비시킨다. 서민과 노동자를 위하겠다는 정책이 결과적으로 그들을 곤궁하게 만들 뿐”이라고 갈파했습니다. NIE 포인트1. 우리나라 전기·가스요금이 어떻게 변동해왔는지 알아보자. 2....
하워드막스 "경제 법칙을 폐기시킬까요?" 2024-10-10 17:23:54
번째 메모에서는 경제학이란 사람들이 유한한 자원을 어떻게 선택하고 배분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설명했습니다. 두 번째 메모에서는 선거 공약이라는 정치 영역에서는 유한성의 개념이 없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다음은 그 메모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저는 ‘점보 새우(jumbo shrimp)’나 ‘상식(common...
[시사이슈 찬반토론] 온라인 쇼핑에 밀린 대형마트, 주말 의무 휴업 계속해야 하나 2024-09-09 10:00:01
그 사회가 지속가능하다. 후생경제학에서도 사회적 약자의 삶에 초점을 맞추는 시각이 있다. 바로 ‘정의론’으로 유명한 존 롤스의 ‘롤스 기준’이다. 공리주의적 입장에 선 칼도·힉스 기준과는 차이가 있다. 롤스 기준으로 보면 사회적 약자의 삶이 좋아지면 좋은 정책이다. 대형마트 휴일 규제와 관련한 이해관계자 중...
[책마을] 기근 퇴치의 필수 요소는 언론 자유와 민주주의 2024-06-14 18:45:54
등 경제학계 안팎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화려한 분야를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후생경제학과 개발경제학, 사회선택이론 분야에서 큰 족적을 남겼다. 빈곤과 불평등 연구의 대가다. ‘경제학계의 양심’으로 불린다. 유엔개발계획이 1990년부터 발간하는 인간개발보고서(HDR)를 창안한 주역이기도 하다. 최근...
[커버스토리] 대세가 된 구독경제…피로감은 어쩌지? 2024-05-06 10:01:02
더 이론적으로 들어가볼까요? 구독경제의 이점은 경제학의 ‘탐색비용’, 심리학의 ‘인지적 종결 욕구(need for cognitive closure)’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탐색비용이란 거래 주체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들이는 모든 비용을 뜻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찾는 데 들어간 시간이나...
[커버스토리] 규제 부작용 '金사과'…소비자는 누가 지키나 2024-04-01 10:01:02
경제를 분석하는 후생경제학의 제1정리, 즉 최적의 자원배분을 위한 조건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정부의 모든 정책은 소비자 후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교역 확대가 가능한 품목에선 자유로운 무역을 통한 소비자 후생을 늘리려고 노력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사과 등 과일에서 제한적으로라도 시장을 조금...
[책마을] 울산은 왜 젊은이들을 붙들지 못하나 2024-03-29 18:18:22
경제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울산의 암울한 미래와 한국 제조업의 불투명한 전망을 제시한다. 울산은 기적적인 성장으로 한국이 세계 최빈국에서 10대 교역량을 자랑하는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을 견인했다. 태평양과 교두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일찌감치 석유 기지로 활용된 것이 시작이었다. 196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