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부당한 공동행위의 갯수 [Lawyer's View] 2025-01-22 09:32:48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당한 공동행위로 보게 된다(대법원 2006. 3. 24. 선고 2004두11275 판결). 여기서 기본적 원칙에 관한 합의란 사업자들이 향후 계속적으로 담합을 하기로 하면서 가격 등의 결정주체, 결정방법 등에 관한 기준을 정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 회합을 하기로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내 재산은 모두 사실혼 동거인에게" 유언 남겼지만…[조웅규의 상속 인사이트] 2024-11-08 07:39:57
합치하더라도 무효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선을 그었다(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다57899 판결 등). 유언의 법정 요건이 유언자의 진의를 깰 수 있다는 얘기다. 예컨대 자필증서 유언을 하면서 도장 대신 서명만 했다거나, 작성일자 중 '일'을 빠뜨린 경우에도 유언은 무효가 된다. 비밀증서 유언을 하고...
부당노동행위 판단에 '사용자 의사'가 필요한 이유 2024-11-05 16:51:09
하는 이른바 부당노동행위의사가 있어야 한다고 일관되게 판시하고 있다(대법원 2006. 9. 8. 선고 2006도388 판결; 대법원 1998. 12. 23. 선고 97누18035 판결 등). 그런데, 부당노동행위 성립에는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필요없다는 견해들이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주로 불이익 취급의 '이유로'의 해석과 관련해서,...
사업, 세금 그리고 세무조사 [오광석의 Tax&Biz] 2024-11-04 09:31:13
금지된다(국세기본법 제81조의4 제2항. 대법원 2006. 6. 2. 선고 2004두12070 판결 등). 세무조사 후에는 결과통지서 수령일부터 30일 내 과세전적부심사라는 제도를 통해 그 통지 내용의 적법성에 관한 심사를 요청할 수 있는데(국세기본법 제81조의15 제2항), 그 기회를 부여하지 않게 되면 역시 위법하다(대법원 2016....
괴롭힘 신고 한달뒤 전보발령했다가…징역형 선고받은 사장님 2024-10-01 16:24:28
사실의 연결상태를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대법원 2006. 5. 25. 선고 2006도641 판결). 그런데 대상 판결은 고의에 대한 언급 없이 형사책임을 인정하였는바, 이처럼 범죄 성립의 중요한 요건인 ‘고의’를 정면으로 심리하지 않은 점은 다소 의아한 부분이다. 그 외에도 대상 판결은 ‘인사조치의 객관적 정당성’에...
"형은 1억, 난 8억 내라고?"…父 사망 후 동생 분노한 사연 [더 머니이스트-김상훈의 상속비밀노트] 2024-08-14 07:30:03
재산의 가액이 유류분액을 초과한 가액의 비율대로 반환을 해줘야 합니다(대법원 2006. 11. 10. 선고 2006다46346 판결). C씨가 유류분액을 초과해 받은 돈은 6억원(16억원-10억원)이고, D씨가 유류분액을 초과해서 받은 돈은 34억원(44억원-10억원)이므로, 각각의 유류분 분담 비율은 C씨가 15%, D씨가 85%입니다. 따라서...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 구상권 대상…‘제3자’는 누구인가 2024-04-23 16:04:16
고용된 동료 근로자라고 할 수 없으므로, ‘제3자'에 해당한다(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다48768 판결, 대법원ㅤ2007. 3. 29.ㅤ선고ㅤ2006다86948ㅤ판결). 따라서 (사례2)에서 A에게는 구상금 지급의무가 있는 것이다. 가해자가 책임보험에 가입한 경우 책임보험자는 ‘제3자’에 해당한다. 피해자의 책임보험자에...
비위 저지른 임원, 근로자처럼 해고해도 될까? 2024-03-26 17:12:48
사용자의 일반적인 인사재량권을 인정하고 있다(대법원 2006. 8. 25. 선고 2006두5151 판결). 그러나 한편으로 대법원은 “사용자는 이러한 기업질서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하고도 합리적인 것으로 인정되는 한 근로자의 기업질서 위반행위에 대하여 근로기준법 등의 관련 법령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를 규율...
"위법이라고요? 항상 녹음기를 켜놨을 뿐인데요" 2024-03-12 16:31:09
것은 통신비밀보호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대법원 2006. 10. 12. 선고 2006도4981 판결). 문제는 타인간의 대화를 가청거리에 있는 제3자가 녹음한 것이 통신비밀보호법이 금지하는 공개되지 아니한 타인간의 대화를 녹음한 것에 해당하는지 여부이다. 실무에서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대화를 녹음한 후에, 자신은 녹음기를 켜...
사무실 찾아온 친구와 1층 커피숍서 노닥거려도… "근로시간에 포함된다고?" 2024-02-13 16:10:16
시간”이라고 하고 있다(대법원 1993. 5. 27. 선고 92다24509 판결, 대법원 2006. 11. 23. 선고 2006다41990 판결, 대법원 2018. 7. 12 선고 2013다60807 판결 등). 더 나아가 대법원은 “근로자가 작업시간 도중에 실제로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휴식시간이나 대기시간이라 하더라도 근로자에게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