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나만 쏙 빼고 주간회의 진행…괴롭힘 아닌가요? 2025-04-08 17:37:26
할 것을 지시하는 취지의 내용을 전달한 행위(광주지방법원 2012. 10. 24. 선고 2012나10375 판결)’, 모욕 및 따돌림 행위의 사례로 ‘회의에서 배제하거나 직원들 앞에서 대놓고 무시하는 발언을 계속하는 행위’ 등을 소개하여 회의 현장에서 따돌림과 같은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우선,...
노동조합 간부 징계하려면 노조동의 받아라? 2025-04-01 17:26:26
노동조합의 동의권 남용이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다(대법원 2012. 6. 28. 선고 2010다38007 판결). 노동조합의 동의권 남용이 인정될 수 있는 또다른 사례는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로서, 대표적인 경우는 노동조합의 의사결정권을 가진 위원장이나 핵심 간부가 징계대상자가 되어 사실상 노동조합...
M&A 후폭풍…인수한 회사가 알고 보니 '돈 먹는 하마'였다면 [윤현철의 Invest&Law] 2025-03-15 07:00:10
피고(매도인)의 손해배상책임을 기각했다. (서울고등법원 2012. 6. 21 선고 2008나19678 판결) 그러나 대법원에서 판단이 뒤집힌 것이다. 위 파기환송 판결에 따라 사건을 재심리하게 된 고등법원은 담합행위로 인한 부담한 과징금, 손해배상, 소송비용은 대상 회사의 손해이지 매수인의 직접 손해로 볼 수 없고, 담합이...
괴롭힘 신고 한달뒤 전보발령했다가…징역형 선고받은 사장님 2024-10-01 16:24:28
있다(대법원 2012. 10. 25. 선고 2012도8694 판결). 같은 논리를 따른다면, 대상 사례에서도 전보의 객관적 정당성을 인정한 이상 제76조의3 제6항 위반죄는 인정하기 어렵고, 인정하는 경우라도 좀 더 심층적인 고민이 선행되었어야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특히 대상 사례와 같이 전보명령과 같은 ‘인사명령’의...
교섭창구단일화 '합헌'… "원청의 교섭의무 인정 안된다" 2024-07-02 16:46:31
교섭창구단일화 제도는 2012. 4. 24. 헌법재판소로부터 합헌결정을 받은 바가 있다(2011헌마338). 그러나 이러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를 둘러싼 노사관계 현실이나 시대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현재 원청이 하청 노동조합의 교섭요구에 응하여야...
[배지호 前 판사의 알쏭달쏭 건설 소송] 건설 소송 핵심은 '감정' 2024-06-12 17:34:38
채택할 것인지는 원칙적으로 사실심 법원의 전권에 속한다" (대법원 2012. 11. 29. 선고 2010다93790 판결 등)는 입장이다. 건설과 관련된 감정은 크게 (1) 공사가 중단된 경우 공사의 진행률을 판단하는 기성고 감정, 미완성 부분의 공사비를 산정하는 (추가) 공사비 산정에 관한 감정, (2) 건물의 하자와 관련하여 하...
과반 미달 노조만 3개…근로조건 결정 어찌하오리까 2024-04-30 16:58:36
31. 노조 68107-1193)이나 법원의 선례(광주고등법원 2012. 4. 20. 선고 2011나5782 심리불속행 기각으로 확정)도 동일한 입장으로 이해된다. 이때 회사로서는 체크오프(조합비 일괄공제)를 하지 않으면 조합원이 누구인지 알 수 없고, 체크오프로 알게 되더라도 선제적으로 조합원을 차별해서 임금인상률을 적용하면 그게...
5년前 선출된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해도 될까 2024-04-16 16:52:45
노동조합(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0두15964 판결)과의 협의를 적법한 근로자대표와의 협의로 인정하는 등, 형식적으로는 근로자 과반수의 대표로서의 자격을 명확히 갖추지 못하였더라도 실질적으로 근로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대표자라고 볼 수 있는 사정이 있다면 반드시 근로자 과반수로부터 선출될 필요가...
"육아휴직 복귀했더니 승진 누락됐네요" 2024-01-23 17:58:11
제3항을 위반된다는 해석(여성고용정책과-977, 2012. 3. 21.), 육아휴직자가 직원 승진 규정 및 평가기준에 따라 승진대상에서 탈락했을 경우 직원 승진 규정이 육아휴직을 사용한 근로자의 승진을 사실상 제한하고 있는 것이라면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소지가 있다. 다만 회사가 육아휴직자가 차별받지 않는 합리적인 승진...
아빠휴직 급증하는데…육아휴직 이유 승진 배제가 남녀차별? 2023-12-05 15:56:59
있고(여성고용정책과-977, 2012. 3. 21. 회시), 국가인권위원회는 성과평가시 육아휴직기간을 비근무기간 또는 비근무경력으로 보아 육아휴직기간을 감점요소에 포함한 행위는 육아휴직자에 대한 불리한 처우에 해당한다고 결정한 바 있다(국가인권위원회 2019. 7. 24.자 19진정0370600 결정, 국가인권위원회 2019. 6. 5.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