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신주발행절차에서 '주주'는 누구인가…기준 재확인한 대법원 [조광희의 판례로 보는 세상] 2025-04-15 07:00:01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으나, 대법원 2017. 3. 23. 선고 2015다248342 전원합의체 판결로 기존의 판례를 변경했다. 주주는 주주명부상의 기재에 따라 형식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판결한 것이다. 매매예약 맺었는데... 계약 전에 신주발행위 전원합의체 판결은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가...
정신질환 앓는 직원, 휴직·해고할 수 있을까 2025-04-08 17:38:00
바(서울중앙지법 2017. 6. 16. 선고 2016가합550436 판결), 진단서의 제출 거부를 항상 회사의 정당한 명령 거부 등으로 의율하여 징계사유로 삼는 것은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근로자가 정신질환을 겪고 있다는 사정만으로 휴직을 명하거나 복직을 거부하거나 더 나아가 직권면직하는 것은 쉽게 이루어져서는 안 되고...
尹 운명 가를 오전 11시…재판관들, 선고 직전까지 결정문 고친다 2025-04-03 18:03:00
‘2017. 3. 10. 11:21’이라고 기입됐다. 최종 결정문은 4일 오후 3시께 대외에 공개될 예정이다. 천재현 헌재 공보관은 “재판관들의 결재와 당사자 송달, 비실명화 작업을 거쳐야 하는 데다 일반 사건 대비 결정문 분량이 많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무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건 결정문은 각각 61쪽,...
M&A 후폭풍…인수한 회사가 알고 보니 '돈 먹는 하마'였다면 [윤현철의 Invest&Law] 2025-03-15 07:00:10
없다”는 전제를 깔았다. (서울고등법원 2017. 1. 20 선고 2015나28199 판결) 재판도 사람이 하는 것이니만큼 재판부 구성원들의 성향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판단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한번 형성된 주관이나 선입견은 쉽게 바꾸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고등법원 판결에도 나름의 논리는 있지만, 대법원의 논리에 대한...
노조 세미나? 위원장 차량? …노조 운영비 지원, 어디까지 허용될까 2025-03-04 17:25:39
선고 2013다72046 판결,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1두13392 판결). 그러다가 헌법재판소는 2018. 5. 31. 운영비 원조금지 조항은 노조법 제81조 제4호 단서에서 정한 두 가지 예외를 제외한 일체의 운영비 원조 행위를 금지함으로써 노동조합의 자주성을 저해하거나 저해할 위험이 현저하지 않은 운영비 원조 행위까지...
징계해고 무효로 복직한 직원, 해고기간 중 유죄판결 받았다면? 2025-02-25 17:58:21
그러한 사정이 없어진 때라고 해석함이 타당하다(대법원 2017. 3. 15. 선고 2013두26750 판결 등 참조)”고 설시한 다음, ’원고가 선행 징계처분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여 그 결과 무효 확인판결이 확정될 때까지는 피고가 이 사건에 관하여 새로운 징계처분을 할 수는 없었으므로 이 사건에 관한 징계위원회...
항공사 마일리지에 유효기간을 둔 약관의 효력은? [조광희의 판례로 보는 세상] 2025-02-18 07:00:09
점이 인정돼야 한다(대법원 2017. 4. 13. 선고 2016다274904판결). 약관 조항의 무효 사유인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인지는 관계 법령이나 거래 관행 등에 비춰 봐야 한다. △약관 조항이 고객에게 어떠한 불이익을 발생시키는지 △고객이 사업자와 개별적으로 합의했더라도 동일한 내용이 포함된 것인지...
지식재산권 고의 침해에 대한 증액손해배상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언[주석호의 지식재산권 산책] 2025-02-15 07:05:48
도입되는 시발점이 된 2017. 1. 18.자 정부 제출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에 대한 국회 전문위원 검토보고서의 전망과 같이, 5배 증액배상제도의 신속한 활성화를 통해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권리자(피해자)의 손해보전 기능이 강화”되기를 기대한다. 주석호 법무법인(유) 세종 변호사
"사실상 확정" 헤드헌터 말 믿고 사표 냈는데…헉! 2025-02-04 16:54:36
4. 11. 선고 2001다53059 판결,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7다242867 판결). 근로계약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체결된 계약이므로(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4호) 근로계약이 성립했다고 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임금, 근로시간, 근로제공장소와...
'기간제 결혼'일까요? '파견직 결혼'일까요? 2024-12-10 17:32:07
둘러싼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게 된다(대법원 2017. 10. 12. 선고 2015두59907 판결). 그리고 갱신기대권이 인정되면 갱신거절의 합리적 이유가 없는 한 계속 갱신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과 다름이 없게 된다. 파견법을 위반한 경우 사용사업주는 파견근로자를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