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새해 첫 달 전국 아파트 3천750가구 분양…올해의 절반 이하 2024-12-20 09:34:50
아파트 3천750가구 분양…올해의 절반 이하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새해 첫 달인 내달 아파트 분양 물량이 올해 1월의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1월 전국의 분양 예정 물량은 총 3천750가구로, 올해 1월(8천608가구) 대비 56.4%...
[하반기 경제] 공공부문 투·융자 15조원 증액…공공임대단지 고밀 재개발 2024-07-03 12:30:24
현재 지은 지 30년 이상 된 공공임대주택은 9만8천가구, 25년 이상∼30년 미만은 9만가구가량이다. 정부는 올해 12월 공공임대주택 생애주기별 관리 전략을 마련하고 내년 12월까지 3곳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아울러 정부는 주택연금에서 재건축 분담금 용도의 일시 인출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55세...
전국 아파트 분양가 1년3개월만에 하락 전환…서울도 0.54%↓ 2024-06-17 10:53:01
물량은 총 1만3천712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90% 증가했다. 수도권은 6천272가구로 2천598가구 늘었으며, 5대 광역시 및 세종시(3천463가구), 기타 지방(3천977가구)은 각각 작년 동월보다 711가구, 3천190가구 증가했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축만으론…"이번생엔 불가능" 2024-06-03 10:52:38
현재 20대인 가구가 저축만으로 서울에서 아파트를 구입하려면 86.4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의 이한진 연구위원은 3일 '부동산 폭등기 청년가구 재정변화 분석' 보고서에서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와 KB부동산 통계 등을 근거로 이렇게 계산했다. 2023년 기준 가구주가 29세...
치솟는 분양가…3.3㎡당 4,000만원 2024-05-16 10:58:59
분양가 상승 폭 역시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당 평균 분양가는 638만3천원으로 전월 대비 1.14% 상승했다. 작년 동월 대비로는 26.42% 올랐다. 기타 지방은 ㎡당 441만8천원으로 전월보다 0.26%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0.46%다. 지난달 전국의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1만7천847가구로 작년 같...
서울 민간아파트 분양가 1년새 27% 상승…평당 3천890만원 2024-05-16 10:42:45
상승 폭 역시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당 평균 분양가는 638만3천원으로 전월 대비 1.14% 상승했으며, 작년 동월 대비로는 26.42% 올랐다. 기타 지방은 ㎡당 441만8천원으로 전월보다 0.26%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0.46%다. 지난달 전국의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1만7천847가구로 작년 같은...
고삐 풀린 분양가…9개월째↑ 2023-12-15 14:52:40
등 지방의 분양가는 3.43% 오른 442만8천원이었다. 지난달 전국의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1만8천728가구로 작년 동월 대비 21% 줄었다. 수도권 신규 분양은 총 8천882가구로 전월보다 1천945가구 줄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도 6천410가구 적었다. 서울도 신규 분양이 984가구로 전월보다 989가구 줄면서...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 9개월 연속 오름세…1㎡당 518만3천원 2023-12-15 14:31:13
분양가는 3.43% 오른 442만8천원이었다. 지난달 전국의 신규 분양 민간아파트 물량은 총 1만8천728가구로 작년 동월 대비 21% 줄었다. 수도권 신규 분양은 총 8천882가구로 전월보다 1천945가구 줄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도 6천410가구 적었다. 서울도 신규 분양이 984가구로 전월보다 989가구 줄면서 수도권 전체의...
가구 5곳 중 1곳 '억대 소득'…소득분배 지니계수 개선 2023-12-07 12:00:01
올라섰다.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처분가능소득'은 5천285만원에서 5천482만원으로 3.7% 늘었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연령은 68.1세, 실제 은퇴연령은 62.7세로 나타났다 ◇ '고소득층' 5분위 평균소득 1억5천598만원…1분위는 1천405만원 구간별로 가구소득은 1천만∼3천만원 미만이 21.6%로...
'성장 동력' 잃은 홈쇼핑업계, 3분기 실적 동반 악화 2023-11-10 13:54:48
작년보다 7.4% 줄었고, 영업이익은 93억원으로 68.1% 급감했다. GS홈쇼핑도 3분기 매출이 2천598억원으로 10.2% 줄었고, 영업이익은 213억원으로 18.7% 줄었다. CJ온스타일의 3분기 매출 역시 3천3억원으로 작년보다 2.9% 줄었다. 다만, CJ온스타일의 3분기 영업이익은 71억원으로 23.2% 늘었다. 이는 작년 3분기 영업이...